낙동의 지맥들/30. 영축지맥

영축지맥 제3구간 감물고개 ~ 상부마을

홍승우 2015. 2. 19. 15:21

영축지맥 제3구간 감물고개 ~ 상부마을

 

1. 일자 : 2015. 2. 18(수요일)

 

2. 날씨 : 맑음(연무로 시계는 좁음)

 

3. 산행인원 : 나홀로

 

4. 이동수단

 가. 갈 때 : 승용차 → 콰이강의 다리(삼랑진읍 삼랑리 625번지) → 택시 → 감물고개

 나. 올 때 : 날머리(상부마을) → 승용차회수 복귀 

 

5. 지도/ 지역

 가. 지도 : 영진 1:5만 463, 462, 488쪽 및 인터넷지도

 나. 통과지역 :  경남 밀양시 삼랑진읍, 단장면 

 

6. 산행구간/거리 : 감물고개 ~ 상부마을/ 14.5km

    감물고개 - 2.6 - 만어산 - 3.3 - 솔태고개 - 2.4 - 청룡산 - 1.0 - 새나루고개 - 1.7 - 미전고개 - 1.9 - 거족고개 - 0.6 - 매봉산분기 - 1.0 - 상부마을

 

7. 산행시간 : 06시간 32분 / 감물고개(09:13) - 만어산(10:07) - 솔태고개(11:22) - 청룡산(12:09) - 새나루고개(1:27) - 미전고개(13:44) -거족고개(14:42) - 매봉산분기(15:06) - 상부마을(15:45)

 

8. 길찾기 주의할 곳 및 안내

 가. 미전고개 내림길 : 김해김씨 묘에서 우측으로 감나무밭 진입도로 따라 내려오면 편함

 나. 거족고개 내림길 : 칡넝쿨을 헤치고 묘지군을 보고 내려와야 함

 다. 매봉산 분기봉 오름길 : 거족고개에서 좌측으로 10m 정도 가면 과수원길(대나무로 막아놓았음)로 올라가 잡풀을 헤치고 폐쇄된 염소 사육장을 따라 올라감

 라. 상부마을 내림길 : 231봉 지나 우측으로 가다가 작은바위무덤을 지나면서 좌측으로 꺽어 내려가다가 급경사 내림길에 만나는 삼거리에서 좌측이나 우측으로 가도됨(좌측 : J3표지기, 우측 밝은웃음부부 표지기)

 

9. 산행기록

 "봄채비"

월요일과 화요일 내린 눈과 비로 영축지맥 제1구간인 영축산 구간 종주를 하기 못하고 3구간부터 먼저 하기로 하고 집에와서 느긋하게 아침을 먹고 삼랑진읍 삼랑리 콰이강의 다리 카페로 간다. 카페앞 철로교 아래에 주차를 하고 삼랑진 육천콜(055-353-8255) 택시를 호출한 후 산행채비를 하는데 택시가 도착한다. 택시를 타고

감물고개로 올라가니 삼거리로 좌측은 표충사로 가는 감물리이과 우측은 삼랑진으로 가는 우곡리이다.

삼거리에서 산으로 오르는 도로를 따라올라

608봉을 오르는 입구에서 608봉 오르기를 생략하고 도로를 따라 608봉을 우측으로 우회하여

만어산으로 오르는 541봉아래 고개까지 진행한다.

산사랑이란분이 이곳을 점골고개 안내판을 붙여 놓았다.

541봉을 좌측 사면으로 우회하여 내려가니

안부에 집터를 닦아 놓았는데 아랫쪽에 법흥리와 영남알프스 환종주 구간이 칠탄산과 운문지맥의 산군들이 보이는데 연무로인해 흐릿하게 보인다.  

만어산 정상 직전의 바위를 지나

정상에 오르니 정상석이 있고 조망이 트이는데

흐릿하지만 영축지맥의 산군들과

삼랑진과 낙동강 무척산이 보인다.

이동통신탑을 지나 임도를 따라 내려와

만어현에서

임도를 따라

솔티고개까지 간다.

임도를 따라 547봉을 좌측으로 우회하여 내려가면

돌탑이 있는 솔티고개가 나오는데 이곳에서 좌측으로 올라도 되고 조금만 더 내려가 좌측 능선으로 오르는 임도를 따라 올라가면

임도가 이어지는데 이 임도는

활공장인 322봉 까지 이어진다. 활공장에서 건너편의 비슬지맥을 살펴보는데 시계가 흐릿하여 잘 보이지 않는다.

앞쪽의 363봉과

뒤쪽의 363봉을 지나

이어간

청룡산을 지나 우측으로 꺽어서

올라야 하는 삼각점봉은 좌측사면으로 우회하여 묘지군이 나오는 양호한 등로를 따라 내려가면

새나루 고개가 나온다. 고개 우측으로 가니

밀양 국민보도연맹 사건 희생지 안내판이 있는 곳에서

뒷쪽의 경고판

좌측으로 보이는 등로를 따라 급경사를 오르면

헬기장이 나온다. 이곳에서 점심식사를 하고

327봉을 지나

돌무덤봉에서 좌측으로 내려가다보면 급경사지가 나오는데 급경사지를 지나면

묘지가 나온다. 이곳에서 조망이 트여 밀양강과 비슬지맥 산군을 사진에 담고 선답자의 산행기를 따라 좌측 숲으로 들어가 내려갔는데  길이 시원찮아 가시와 잡목이 성가시게 한다. 오히려 묘지 아래 단감나무 밭을 오르는 도로를 따라 내려가는것이 더 나을것 같다.

잡목숲을 빠져나오니 미전고개와 무월산이 보인다.

미전고개에서 우측으로 넘어가

과수원으로 오르는데

능선마루에 올라서니 매화나무에서 매화가

피어날 준비를 하고 있다. 엊그제 봄비을 재촉하는 비가 내리더니 매화가 봄을 맞이할 채비를 하나보다. 매화밭 주변에 짐승들 침입을 방지하는 그물망을 쳐놓았는데 그물망을 넘어 산정에 오르니

삼각점이 있는

196.4봉이 나오고

이어서 무월산이 나온다.

무월산을 지나 능선길을 따라가는데 우측 나뭇가지 사이로 밀양강과 낙동강의 합수점이 보인다.

능선마루에서 제법 급한 내림길을 내려가야 하는데 숲을 벗어나니 묘지 아랫쪽에 거족고개와 건너편에 매봉산 갈림봉이 보인다. 묘지뒤의 칡밭에는 칡넝쿨이 무성하여 녹음기에오면 고생꽤나 하겠다. 칡넝쿨을 헤치고 묘지로 내려가 묘지길을 따좌 좌측으로 돌아서 내려가면 되는데

내림길에 우측으로 조망이 트이는 곳에서 미슬지맥의 끝자락을 사진에 담아본다.

거족고개 정부로 내려오면 차가 주차되어 있는 곳으로 맥길이 이어지지만 단감밭으로 울타리로 막혀있다.

거족고개 버스정류장을 사진에 담고

고갯마루에서 좌측으로 10m정도 이동하여 감나무밭 진입로를 따라 올라가면 대나무로 대문을 만들어 놓았는데 좌측으로 살짝 비껴서 대문을 넘어가 감나무 밭을 가로질러 올라가 잡풀이 무성한

페쇄된 염소 사육장 우측을 지나 가파른 오름길을 올라가면

매봉산 분기봉이 나오는데

이곳이 232.4봉이다. 우측으로 조금가면 표지기들이 많이 걸려있는데

낮익은 표지기가 보인다.

231봉을 지나 좀더가면 돌무덤봉이 나오는데 돌무덤을 지나자 말자 좌측으로 꺽어서 내려가야 한다. 내림길이 급경사로 이어지는 곳에서 만나는 삼거리가 있는데 좌측은 J3 젊은미소가 우측은 밝은웃음부부가 표지기를 걸어 두었다. 밝은웃음님의 독도실력을 익히 알고있지만 우측오 가면 뒤기미로 이어지는 능선이고 좌측으로 가면 상부마을로 가는 길이라 좌측으로 내려갔는데, 내림길이 고라니길이라 내림길을 내려와 감나무밭에 이르니 울타리를 쳐놓았는데 맥길에서 좌측으로 약간 벗어나 있다. 우측으로 이동하여 맥길에 복귀하여 뒤돌아 보니 밝은웃음부부 표지기를 따라 우측으로 가다가 완경사지에서 좌측으로 이동하여 내려오면 되고 내려오는 길이 뚜렷하다.

영축지맥 마지막 봉우리 직전 내림길 조망이 트이는 곳에서 좌측을 보면 낙동강을 건너는 대구-부산 고속도로와 58번국도 구 삼랑진철교 등 3개의 교량이 보이고  

우측을 보면 새로이건설한 경전선 철로교와 낙동강과 밀양강 합수점이 보인다.

과수원길을 따라 내려와 건너편 둔덕의 마지막봉은 오르지않고 산진에만 담고  내려오니

삼랑진 배수지가 나오는데 폐쇄된 것 같다.

상부동 마을회관 뒷쪽의

후조창유지 비석군의 유래를 살펴보고

  내려와 삼랑진철교를 사진에 담고 영축지맥 제3구간 종주를 마치고 철로교아래 주차해둔 차를 회수하여 집으로 돌아간다.

 

10. 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