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2. 8. 20:01ㆍ낙동의 지맥들/16. 황학지맥
황학지맥 제3구간 신동역 ~ 합수점
1. 일자 : 2015. 2. 8(일요일)
2. 날씨 : 맑음(바람이 세게불고, 오전에는 황사가 있었음)
3. 산행인원 : 나홀로
4. 이동수단
가. 갈 때 : 승용차 → 대구 북부시외버스 정류장 → 250번 버스(왜관북부행) → 신동초교
나. 올 때 : 대실역 청아람건너→ 425번 버스 → 삼익맨션 → 356(3번순환)번 버스 → 대구 북부시외버스 정류장 → 차량회수 복귀
5. 지도/ 지역
가. 지도 : 영진 1:5만 386, 410쪽 및 인터넷지도
나. 통과지역 : 경북 칠곡군 지천면, 대구시 달성군 하빈면, 다사읍
6. 산행구간/거리 : 신동역 ~ 합수점/ 16.0km
신동역 - 1.2 - 4번국도 - 2.3 - 경부고속도로 - 2.8 - 용재산 - 1.9 - 마천산 - 1.6 - 이현고개 - 2.1 - 부곡배수지 - 2.0 - 30번국도 - 1.4 - 죽곡산 - 1.0 - 합수점
7. 산행시간 : 06시간 52분 / 신동역(07:18) - 4번국도(07:52) - 경부고속도로(08:54) - 용재산(10:15) - 마천산(10:46) - 이현고개(11:53) - 부곡배수지(12:41) - 30번국도(13:12) - 죽곡산(13;43) - 지하철 다사역(14:10)
8. 길찾기 주의할 곳 및 안내
전반적으로 양호
9. 산행기록
"첫 황사"
황학지맥 마무리 산행이다. 날씨가 추워진다고 하여 추위에 대비한 채비를 하고 승용차를 타고 대구 북부시외버스 정류장으로 가서 주차를 한 후 06:55분발 왜관북부행 250번버스를 타고
신동초등학교앞에 내리니 바람이 차갑게 느껴진다.
지천면 사무소를 지나 경부선 지하차도를 건너
신동역 방향으로 가다가
좌측에 빨간지붕 건물로 들어가
빨간지붕 건물 좌측으로 경작지를 건너 산으로 올라가
33번 송전탑을 지나고
23번 송전탑에서 우측으로 꺽어 진행한다.
152봉을 넘어가니
4번국도 절개지가 보인다. 이곳에서 우측으로 내려가
차량이 뜸한 틈을 타서 도로를 횡단하여 절개지 측면을 따라올라 마루금에 복귀한다.
185.4봉을 지나
만나는 삼거리에서 우측으로 진행하면
삼각점이 있는
162.7봉이 나오는데 이곳에서 좌측으로 진행하면
경부고속도로 절개지 위에 도착한다. 이곳에서도 우측으로 내려가
절개지 상단의 낙석방책을 지나 절개지 점검계단을 내려가면
수로관이 나오는데 이곳으로 고속도로를 횡단한 선답자들이 많다. 우측 통로암거를 이용하기위해
고속도로 절개지와 갓길 사이를 따라 200여m를 가니 우측에 수로암거가 있는것 같아 그리로 내려가니
2.0m높이의 수로암거가 나온다. 수로암거를 통과하여 방음벽뒤로올라 고속도로 절개지로 거슬러 올라가다가 울타리가 있어
우측 농장으로 나아가 도로를 따라 올라가
좌측의 고속도로 절개지로 가지않고 직진하는 임도를 따라올라
마루금에 복귀한다. 여기서부터 등로가 매우양호하게 발달되어 있다.
안부를 건너는데
성황당 흔적이 있다.
237봉까지 길게 올라 내림길에 좌측으로 빙 돌아 가니
안부가 나오는데
좌측에 돌탑이 보인다.
용재산을 좌측으로 우회하여 내려가니
28번 송전탑이 나오고
등로 우측 잡목숲에 용산이 있고
박산갈림길을 지나 우측으로 빙 돌아 오르니
삼각점이 있는
마천산이 나오는데 정상안내판이 등로에서 50여m정도 벗어나 있다. 다시 등로로 되돌아와 남서쪽 방향으로 내려가다가
조망이 트이는 곳에서 금호강과 다사읍, 비슬산 청룡지맥등을 짚어보고 길게 내려간다.
삼거리 이정표가 있는
이천리 갈림길에서 봉수대 방향으로 우측으로 꺽어서 진행한다.
돌담을 두른
봉수대터에서 봉수대 안내판 내용을 읽어보고 좌측으로 내려가면
이정표가 나오는데 맥길은 이정표 직전에 직진방향의 등로가 보이지 않는 곳으로 내려가야 한다. 그러나 이현도로 방향으로 내려가니 바람이 불지않는 묘지가 있어 그곳에서 점심식사를 하고 내려가니 이현고개에서 좌측으로 300여m 정도 벗어난 곳에서 도로를 만난다. 우측으로 올라가
이현고개를 넘어
소공원과 도로개설 감사비가 있는 곳에서 감사비 뒤로 올라가
만나는 봉우리에서 좌측으로 조금가니
삼거리가 나오고 산행을 나온 사람들이 매우 많다. 이곳에서 우측으로 가면 문양역이 나오고 좌측 마천산쪽으로 조금가서 만나는 봉우리에서 우측사면을 따라 진행하면 맥길이다.
산객들이 붐비는 등로를 따라 내려가다가 이동식 화장실과
13번 송전탑을 지나 내렸다가 오르니
등산 안내도가 있는
185.8봉이 나오고 185.8봉을 지나
우측으로 내려가니 숨터가 나오고
이정표가 보이는데, 이곳에서 배수지 방향으로 내려가면 된다.
부곡배수장 우측도로를 따라가
이정표를 따라 산으로 올라
135.8봉에서 좌측으로 가다가
우측 아파트 쪽으로 내려가 앞에보이는 도로를 따라 진행하여 좌측 123봉은 생략하고
30번 국도앞에서
우측으로 내려가 태왕아파트와 삼산아파트 사잇길로 들어가 협성아파트 앞에서 우측으로 내려가니
예본 어린이 집이 나온다.
어린이집과 우방타운 사이의 계단을 따라올라 둔덕을 넘어가니
계단이 보이는데
매곡배수지 계단이다. 계단을 따라올라 배수지앞 공터에서 우측으로 돌아 산으로 올라 좌측으로 한참을 올라가면
정자와
모암봉 표석이 있는 죽곡산 정상에 다다른다.
이곳에서 대구시내 조망 안내판을 보며
시내를 조망해보고
강정보 전시관과 달성습지 및 비슬산과 비슬지맥 및 청룡지맥을 헤아려 본다.
청룡지맥의 끝자락인 와룡산도 헤아려보고 게단을 따라 내려가
이정표가 있는 곳에서
강정보 방향으로 직진해야 하나 강정보에는 시내버스 운행시간을 몰라 시내버스를 타기위해 좌측으로 내려가 도로를 따라
대실역으로 가서
대실역 3번출구를 지나 대실역청아람건너 버스정류장에서 북부정류장으로 바로가는 250번 버스를 기다렸는데 기다린 보람도 없이 버스가 그냥 지나가 버린다. 425번 버스를 타고 내당동 삼익맨선으로 가서 순환3번 버스를 타고 북부정류장으로 간 후 승용차를 회수 집으로 복귀하니 황학지맥 제3구간이 마무리 된다.
10. 지도
'낙동의 지맥들 > 16. 황학지맥'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황학지맥 제1구간 계정사 ~ 분기점 ~ 버등재 (0) | 2015.02.07 |
---|---|
황학지맥 제2구간 버등재 ~ 신동역 (0) | 2015.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