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9. 1. 13:52ㆍ낙동의 지맥들/12 구암지맥
구암지맥 제1구간 분기점 ~ 노래재
구암지맥(九岩枝脈) 은 ?
구암지맥(九岩枝脈) 은 보현지맥 다리방재 북쪽 1.6km지점의 약 780m봉에서 북서쪽으로 분기하여 구암산(807m), 삼자현,솔치재,노래산(794m →0.7) ,아홉사리재,계명산(530m →0.9), 약산(582.5m)을 거쳐 임하댐밑 반변천에서 그맥을 다하는 도상거리 약 57.3km의 산줄기로 길안천의 좌측 분수령이 된다.
1. 일자 : 2014. 08. 30(토요일)
2. 날씨 : 맑음(가을날씨)
3. 산행인원 : 나홀로
4. 이동수단
가. 갈때 : 승용차(포항 → 청송군 부남면 중기리 중기저수지)
나. 올때 : 노래재 → 택시(054-874-7171) → 중기저수지
5. 지도/지역
가. 지도 : 영진 1:5만 339, 338, 312쪽 및 개념도
나. 통과지역 : 경북 포항시 북구, 청송군 부남면, 현동면, 안덕면
6. 산행구간/거리 : 중기저수지 ~ 노래재 / 23.1km
중기저수지 - 2.5 - 구암분기점[785m] - 1.2 - 구암산 - 6.0 - △559.5 - 3.0 - 市界분기점 - 1.4 - △591.3 - 2.4 - △645.3갈림봉[휴양림始點] -1.2 - 삼자현 - 1.0 - 3面峰[안덕면]/산불초소 - 3.4 - [舊]노래재 - 1.0 - 노래재[930지방도]
7 . 산행시간 : 10시간 38분/ 중기저수지(05:56) - 구암분기점(생략) - 구암산(07:15) - 559.5봉(09:49) - 시계분기점(11:09) - 591.3봉(11:51) - 645.3갈림봉 (13:07)- 삼자현(13:28) - 3면봉(13:50) - 구 노래재(13:30) - 노래재(16:00)
8. 길찾기 주의할 곳 및 안내
가. 들머리
1) 송이골을 들머리로 정하여 진행하면 길찾기도 용이하고, 초입에 쉽게 분기점으로 접근할 수 있다.
2) 중기저수지를 들머리로 정하여 진입할 경우 임도를 따라올라 처음에 만나는 개울을 건너 올라가면 임도3거리가 나오는데 거기서 좌측임도를 따라가면 잡목으로 인해 임도가 사라져 가다가 임도가 끝나는 곳에서 잡목을 헤치고 좌측으로 개울을 건너면 임도흔적이 있다. 그 흔적을 따라 올라가 710봉이나 분기점으로 접근하면 된다.
9. 산행기록
"가을맞이 산행"
새벽3시반에 일어나 산행준비를 한 후 차량으로 이동하여 중기저수지 제방에 주차시킨 후
제방좌측
임도를 따라 올라가 개울을 하나 건너고 좌측아래 개울을 끼고 고도를 높여가면
임도 삼거리가 나오는데 좌측으로 잡목을 헤치고 진행하여 임도가 끝나는 곳에서 좌측개울을 건너려고보니 잡목이 무성하고 잡목속에 임도가 이어지는지 알수가 없어 우측 능선을 따라 올라간다.
오름길에 좌측을 보니 오름길이 구암산으로 바로 오르는 길로 생각이 들어 계속오르다가
조망이 트이는 바위에 앉아 휴식을 취하면서 구암지맥 분기점을 사진에 담는다. 보현지맥 종주때 분기점 우측아래 임도를 따라 가느라 분기점을 통과하지 못했는데, 구암산으로 바로 오른다면 분기점을 생략하려고 생각하니 지난번에 올랐으면 하는 생각도 든다.
바위지대를 올라가니 786봉이 나온다. 좌측으로 이동하여 구암산에 오르니 이슬에젖은 잡목만이 무성하다.
잡목을 피해 정상 아랫쪽에 정상안내판을 설치해 두었다. 분기점왕복은 생략하고 여기서부터 구암지맥 맥길을 이어간다.
내림길 삼거리에서 좌측으로 내려가며
간벌로 잡목이 많이자란 등로를 이어가 폐 헬기장이 있는 790봉을 통과한다.
700봉을 지나고
648봉을 분기하는 680봉에서 우측으로 꺽어 진행한다.
좌측 둥근봉 갈림길에서 우측으로 진행하다가
동쪽을 보니 부남면과 낙동정맥 산군들이 선명하게 보이고 골짜기에서 아침안개가 피어오르는것을 보니 가을이 오고있다는 것을 느끼게 해준다.
590봉을 지나
613봉에서(지도에는 610봉)우측으로 가다가 좌측으로 급하게 꺽어 내려가면
입산금기 경고판이 나오고
성황당 흔적이 있는 안부가 나오며
안부를 지나면 철망이 나오는데 철망을 넘어
오르다보면 준.희님의 격려문이 나온다.
560봉을 넘어서
5746.5봉을 지나
560봉에서 우측으로 꺽어 진행한다.
550봉을 넘고
530봉에서 좌측으로 꺽어 진행하여
솔밭을 통과한 후
561봉 갈림봉에서는 좌측능선길이 선명하나 우측 아래로 뚝 떨어져 내려가야 능선이 살아나는데 그능선이 지맥능선이다.
559.5봉을 우측사면으로 통과하고
560봉도 우측사면으로 통과하며
580봉 갈림봉도 우측사면으로 통과한다.
579봉에서 좌측으로 꺽어 진행하면
수렛길이 나오는데, 수렛길을 따라 596봉을 좌측으로 우회한다.
596봉과 626봉 사이 안부에서 626봉을 우측으로 돌아가면
기계유공묘가 나오며
수렛길이 우측아래로 내려가는 갈림길에서 능선을 따라 진행하여
580봉에서 우측으로 진행한다.
590봉에서 우측으로 진행하여
안평마을로 내려가는 분기점에서 좌측 으로 내려가면
임도가 나오는데 임도를 따라 조금가서
우측 숲으로 들어가야 한다.
591.3봉을 넘어
추석을 맞아 깔끔하게 벌초한 묘지를 지나오른
정상너머에 향나무가 묘지둘레에 심어져서 크게자란 묘지를 지나면 잡목지대라 등로가 희미하다.
641봉 갈림봉에서 좌측으로 꺽어 급경사를 내려가 안부를 지나면 능선이 살아나는데, 밋밋하고 낮은 봉우리를 넘어가면
585봉이 나온다. 우측으로 진행하여
610봉을 찍고 좌측으로 꺽어 진행하면
청송자연휴양림에서 설치한 이정표와 안내판이 있는 620봉이 나온다.
593봉을 넘어
내려서니 풍차가 있는
삼자현이 나오는데
고갯마루 건너는 절개지라
우측 부남면 도포표지가 있는 쪽으로 내려가면
도로 좌측으로 오르는 임도가 보이는데, 그리로 올라 임도를 따라 가다가
헬기장이 있는 560봉을 넘어
묘지를 지나 내려오면
다시 임도가 나온다. 임도삼거리에서
삼면경계봉에 산불감시초소가 설치되어있는 쪽으로 진행하여 가다가 임도가 좌측으로 꺽이는 곳에서 사과 과수원 좌측 수렛길을 따라 진입하니 길이 막혀있어 다시 임도로나오 좌측으로 돌아가니 임도가 좌측아래로 내려가길래
임도에서 과수원 뒷쪽의 숲으로 들어가 과수원을 지난오르니 수렛길이 살아난다. 즉 맥길은 과수원 울타리 좌측길이 맞으나 과수원으로 인해 중간에 맥길이 보이지 않았던 것이다.
560봉을 지나
영해신씨묘가 있다는 585봉까지는 수렛길이 이어지는데, 파묘를 한 묘지 우측으로 넘어가 옛 벌목지를 통과하느데 벌목을 하고 새로자란 나무들이 그늘과 등로를 잘 보존하여 진행이 용이하다.
기계유씨묘를 지나 고
절충장군 묘를 지나
좌측으로 내려오니 임도가 나오는데 이길이 옛날에는 930번 지방도였단다.
임도에서 우측으로 이동하여 가파른 오름길을 한오름 오른 450봉에서 능선길을 이어가다가
노래고개 부근 절개지위에서 우측으로 내려오니 노래고개가 나온다. 여기서 오늘산행을 접고 부남택시를 불러 중기저수지로 이동하여 저수지에서 땀을 씻은 후 중기2리 입구 정자에서 야영을 한다.
10. 지도
'낙동의 지맥들 > 12 구암지맥'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암지맥 제3구간 양곡재 ~ 추월리 종점 (0) | 2014.09.01 |
---|---|
구암지맥 제2구간 노래재 ~ 양곡재 (0) | 2014.0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