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현지맥 제1구간 분기점 ~ 꼭두방재

2014. 7. 21. 16:33낙동의 지맥들/11. 보현지맥

보현지맥 제1구간 분기점 ~ 꼭두방재

 

 보현지맥(普賢枝脈)이란?

 

 낙동정맥 가사령 북서쪽 봉우리(744.6봉)에서 남서쪽으로 분기하여

 

면봉산, 보현산을 지나 석심산에서 팔공지맥을 분기해 주고  북으로 이

 

어져 상주시 위천 합수점까지 이어진 산줄기를  보현지맥이라 하며 그

 

길이는 166.8km이다. 

1. 일자 : 2014. 07. 20(일요일)

 

2. 날씨 : 맑음

 

3. 산행인원 : 나홀로

 

4. 이동수단

 가. 갈때 : 포항시외버스 터미널 → 500번 버스 → 청하 환승센터 → 청하택시(054 - 232 - 4422) → 가사령 

 나. 올때 :  꼭두방재→ 죽장택시(011 - 9730 - 2655) → 죽장 → 시내버스 → 청하환승센터 → 700번 버스 → 포항시외버스 터미널 

 

5. 지도/지역

 가. 지도 : 영진 1:5만 339, 3338쪽 및 개념도

 나. 통과지역 : 경북포항시 북구 죽장면, 청송군 부남면, 현동면

 

6. 산행구간/거리 : 가사령  ~ 꼭두방재 / 17.4km

 가사령 - 1.4 - 가사봉 분기점 - 2.8 - 744봉 - 2.1 - 구암지맥 분기점 - 5.6 - 521봉 - 2.5 - 604봉 - 4.0 - 519봉 - 0.4 - 꼭두방재

7. 산행시간 : 08시간 13분/ 가사령(06:56) - 가사봉 분기점(07:34) - 744봉(08:44) - 구암지맥 분기점(09:27) - 521봉(12:06) - 604봉(13:22) - 519봉(14:59) - 꼭두방재(15:09)

 

8. 길찾기 주의할 곳 및 안내

     전반적으로 양호함

 

9. 산행기록

  포항에서 첫산행이다. 새벽 4시에 일어나 산행준비를 하여 시외버스 터미널로 이동하여 500번 버스를 타고 청하환승센터에 도착한 후 청하택시를 불러타고 가사령으로 이동한다. 선답자의 산행기에는 청하환승센터에서 07:10분 버스를타고 죽장면 상옥리 삼거리로 가서 도보로 가사령까지 이동하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지만 복중의 더위와 오후에 비소식이 있어 택시를 타고 이동하였는데, 산행을 마치고 생각해 보니 승용차를 타고 가서 가사령이나 꼭두방재에 주차를 해 두고 죽장택시를 이용하여 차량을 회수한다면 시간적인 면에서는 유리할 것이다.

 가사령에 도착하여

 고개넘어 죽장방면 우측의 임도가 있는곳에서 낙동정맥길을 따라 오르니

 보현지맥 분기점이 나온다.

 좌측으로 조금 오르면 봉우리가 나오는데 고라산이라고 하는 745봉이다. 편안한 능선길을 따라 계곡쪽에서 불어오는 시원한 바람을 맞으며 종주를 하니 기분이 매우 상쾌하다.

 묘지가 있는 697봉을 지나고

 746봉을 지나 오름길을 오르니

 삼각점이 있는

 742.0봉이 나오는데, 지도에는 744봉으로 표기되어 있다.

 포항시산악구조대에서도 742.9봉으로 표기한 것을 보면 지도에 표기된 것이 오기인것 같다.

 임도가있는 다리방재에 도착하여 잠시 휴식을 취한 후 임도를 따라 가는데

 비비추가 꽃을 피우고 있다.

 구암지맥 분기봉은 오르지않고 임도를 따라 좌측으로 우회를 하면서

 예쁘게 핀 도라지꽃을 사진에 담아본다.

 구암지맥 분기봉을 지나 내림길에 임도와 헤어져 좌측 능선으로 올라

 698봉을 지나고

 폐 헬기장을 지나

 송이골 임도에서 임도를 건너 우측 능선으로 오르니

 능선위에 임도가 있는데, 이 임도는 583봉아래 묘지 입구까지 이어져 있으며 임도를 따라 가다가 우측으로 올라가면  

 583봉이 나온다.

 590봉ㅇ과

 671봉 앞봉 및

 671봉을 ㄷ자형태로 꺽어 진행하다가

 갈림길봉을 오르기전 좌츠측사면으로 난 길을 따라 우회하여 우측으로 꺽어 진행한다.

 서쪽으로 꺽어진 후 숲을 벗어나면서 우측으로 벌목을 한 곳을 지나가는데 조망은 트이지만 수년 후면 잡목이 자라 진행을 방해할 것을 생각하니 여름에 종주해야 하는 종주꾼들에 대한 걱정이 앞선다.

 삼각점이 있는

 521봉을 지나고

 폐 헬기장이 있는봉에 오르니

 조망이 트여 보현산의 산군들과

 우측아래 공수골이 한눈에 들어온다.

 벌목지대를 지나 성황당 안부에 도착하니 다시 숲속이라 덥지않아 종주가 쉬워진다.

 553봉을 지나 편안한 능선을 진행하다가

 임도가 있는 웃재에 도착하니 왕복2차로 도로가 나온다. 도로건너 우측 가드레일 단부에서 숲으로 들어가

 569봉을 오르는데, 산객들의 안전을 위해 로프를 설치해 두었다.

 596봉을 좌측으로 우회하여

 오르다가 돌탑을 지나면

 산불감시초소가 있는 604봉이 나온다. 벌목지라 따가운 햇살을 피해 얼른 통과하여

 군 경계봉을 좌측 사면으로 우회하여 지나간다.

 565봉 갈림길 삼거리에서 우측길로 화살표가 되어 있으나 그리로가면 565봉이 나오며 맥길에서 벗어나므로 좌측으로 봉우리를 넘어 진행하여야 한다.

 유인 연주현씨묘를 지나

 568봉에서 좌측으로 꺽어 진행하다가

 월성최씨묘와

 잘다듬어 놓은

 강연묵묘를 지나 내려가니

 유현이 나오는데

 유현에는 성황당 흔적이 있다.

 445봉을 올라

 20여분을 진행하니 지도에는 538봉으로 표기되었으나 안내판에는 528봉으로 표기된 곳에서 우측으로 꺽어 진행하며

 (우측방향으로 표시기가 많음)

 송전탑 갈림봉을 지나

 519.6봉에 도착하니

 삼각점과

 준.희님의 안내판이 있다. 여기서 좌측으로 꺽어 내려가니

꼭두방재가 나온다. 보현지맥 제1구간을 마무리하고 휴게소 화장실에서 땀을 닦은 후 죽장택시를 호출하여 택시를 타고 죽장으로 나와 16:20에 죽장버스 정류장에서 기다리다가 기계로 나가는 시내버스를 타고 기계에 가서 700번 버스를 타고 포항 시외버스 터미널로 이동 차량을 회수하여 포항집으로 복귀한다.

 

10. 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