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 2. 16. 13:34ㆍ대간 및 정맥/한남정맥
한남정맥 제1구간 칠장산 ~ 두창리고개
1. 일자 : 2011. 05. 22(일요일)
2. 날씨 : 맑음(전일 비온뒤 맑음)
3. 산행인원 : 나홀로
4. 지도/지역
가. 지도 : 영진 1:5만 195, 169쪽 및 개념도
나. 통과지역 :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삼죽면, 보개면, 용인시 백암면, 원삼면
5. 산행구간/거리 : 칠장사 ~ 두창리고개 / 21.9km
칠장사 - 1.2 - 칠장산(492.4m) - 0.9 - 관해봉(457m) - 2.4 - 도덕산(366.4m) - 1.9 - 38번도로 - 1.6 - 발태종도로(삼죽면사무소 앞 130m) - 2.7 - 국사봉(440m) - 2.3 - 덕재고개(320m) - 3 - 346.6봉 - 1.9 - 구봉산(455.5m) - 2.3 - 282.7봉 - 1.7 - 두창리고개(326번도로) : 삼죽면 사무소 앞에서 부터 구봉산까지 거리표는 정확하지 않음(카페 빛고을 한맥에서 퍼온 것으로 차후 정확한 거리표를 찾아 수정해야 함)
6 . 산행시간 : 07시간 31분/ 칠장사(11:13) - 칠장산(12:03) - 관해봉(12:19) - 도덕산(12:58) - 38번도로(13:13) - 발태종도로(13:55)- 국사봉(15:11) - 가현치 (15:46) - 346.6봉(16:16) - 구봉산(17:44) - 282.7봉(16:19) - 70번국지도(17:07) - 두창리고개(18:44)
7. 길찾기 주의할 곳 및 안내
전반적으로 양호하나 갈림길 리본이 없는곳은 주의하여 살펴야 함
8. 지명/유래
9. 교통
가. 갈때 : 자가용으로 칠장사 까지 이동(이른아침 산행시 죽산터미널에서 칠장사행 첫차인 06:40분 버스로 이동하는 것이 경제적임)
나. 올때 : 두창리 고개에서 택시(031 - 334 - 9100)를 불러 백암면 소재지로 이동(택시비 5,300원) 하여 백암에서 직행버스(1,400원)로 죽산까지 이동 후 죽산에서 택시(11,100)로 칠장사로 이동 주차장에 주차해둔 자가용 회수 후 복귀 ; 두창리 고개에서 우측으로 조금이동하면 두창1리 버스 정류장에서 백암가는 버스가 있음
10. 산행기록
"또하나의 정맥을 새로이 시작한다."
오랜지인들의 모임인 "영점분해" 영월모임을 마치고 그들을 배웅한 후 차를몰아 칠장사 주차장에 도착한다. 당초 계획은 죽산면 버스정류장 근처에 주차해 두고 칠장사행 첫버스(06:40분)를 타고 칠장사로 이동하여 산행을 하려 하였으나 여건이 맞지않아 이렇게 한 것이다.
칠장사 안으로 들어가 칠장사 전면에서 사진을 찍고
칠장사 유래를 살핀 후
좌측에 칠장산 둘레길 안내판이 있는
어사 박문수길 안내판 옆으로 난 계단을 따라 칠장산을 오른다. 초입의 오름길이 잘 정비되어 있고, 조금 오르니 이정표가 있는(칠장산 1.2km) 삼거리에서 이정표가 계곡을 가리키길래 능선길을 택해서 올랐는데, 좌로 돌아서 올라가므로 정맥길에 합류하여서는 계곡길에서 올라오는 등로와 합류하는 것으로 착각하고, 좌측으로 한참을 가다가 되돌아 오다보니 결국은 알바를 하였고, 1.2km를 오르는데 50이 걸렸다. 이정표 방향이 틀릴리 없는데, 나름대로 능선길을 따른다고 생각한 것은 착각이었던 것이다.
칠장사 갈림길을 지나고
3정맥 분기봉 갈림길(3정맥 분기봉은 금북정맥 종주시 확인하였음)에서 칠장산으로 곳바로 오르니
정상석이 있는 칠장산이다.
좀더 진행하니 삼각점이 있는 삼거리가 나오는데, 우측 방향이다.
완만한 마루금을 이어가 묵묘가 있는 관해봉을 지나고 내림길을 내려가니
송전선로를 가설하느라 설치했다가 복구한 임도가 나온다.
등로 우측에 있는
송전탑 2개를 지나니
복구된 임도삼거리가 나오는데, 정맥길은 우측 방향이다.
복구된 임도가 끝나는 곳에서 우측으로 마루금을 이어가니
도덕산 정상 표지판이 나온다.
도덕산 정상 삼각점 뒤쪽으로 좌측과 우측으로 등로가 나 있는데, 우측길이 정맥길이다.
또다시 복구된 임도가 나오고
등로 우측과
좌측의 송전탑을 지나니
녹배고개표지판이 나온다.
표지판 아래로 내려가는 등로가 있으나 가파른 길이므로 가지않고 좌측의 완만한길로 녹배고개에 내렸다가 다시 올라
능선길을 따라가니 등로 좌측으로 벌목지가 나오고 벌목지를 따라 내려가면서 38번도로와 휴게소를 조망한다.
벌목지를 따라 내려와 38번도로를 횡단하여
죽산 만남의광장 휴게소 화장실 옆을 통과하여 뒤쪽 숲으로 들어가 묘지가 있는곳에서 묘지뒤로 올라 능선길에서 좌측으로 이동한다.
좌측으로 이동하여 마루금에 복귀하게 되는데, 38번도로 확장공사로 잘려진 마루금을 확인하고 숲으로 들어가니 처음엔 소나무 숲이 나오다가 잡목지대로 바뀐다. 리본을 따라 내려오다가 묘지가 나오는데, 묘지가에 향나무를 심어놓고 모씨의 수목장터라는 곳에서 좌측으로 내려왔는데, 리본은 한두개 보이지만 그길은 정맥길이 아니고 묘지에서 우측으로 내려와야 삼죽면 사무소로 내려오는 정맥길이다.
삼죽면 사무소 앞을 지나 도로표지판이 가리키는 용인/원삼 방향의 70번 도로를 따라 진행하다가
뜨락 식당 간판앞에서 식당과 가옥사이의 길을 따라 가니
구제역으로 인해 살처분된 돼지 매몰지가 나오고 이어 한우 축사가 나온다. 축사를 지나니
마을길 4거리가 나오는데, 하얀집이 보이는 곳에서 좌측으로 조금 이동하니
산으로 진입하는 들머리가 나온다. 들머리를 따라 산으로 들어갔다가
나오는 지점에 포장도로가 나오고 포장도로를 따라 오르니
대성사 노인복지원 안내석을 지나
조금더 진행하니 도로우측으로 숲속으로 들어가는 진입로가 보인다. 숲으로 들어가 계단을 지나고
등로를 이어가니 안성허브마을 이정표에 한남정맥 방향이 표시되어 있다.
헬기장과
송전탑을 지나니
국사봉이 나오는데 국사봉은 정맥길에서 100여m 벗어나 있고 전망대가 설치되어 있어
고삼저수지와 아랫마을을 조망한 후 되돌아 나와
서낭당 터로 추측되는 돌탑이 보인는 안부를 지나는데 이곳이 빛고을 카페에서 말하는 덕재고개인 듯 하다.
헬기장을 지나고
상봉에 올랐다가 다시 내려가
봉우리를 오르니 상봉표지판이 여기에 붙어있다. 개념도가 정확하다면 상봉은 뒤쪽에 표지판이 붙어있지않은 곳이 맞다. 이곳에서 우측으로 꺽어내리니
가현치이다.
들머리는 도로를 따라 조금올라 보개면 경계표주 뒤로 난 절개지 비탈면을 따라 오르면 되며
비탈면을 따라 오르니 천주교 수원교구 공원묘지 가장자리 도로가 나오고 도로마루 우측으로 리본을 따라 숲으로 들어가 벌목지대를 통과하니
346.6고지가 나온다. 이곳에서 부터는 용인시에서 이정표를 잘 설치해 놓아 이정표를 따르면 되는데, 거리표는 일정하지 않으니 참고할 수 가 없다.
(거리표는 정확하지 않음)
(한남정맥 종합 안내도 : 용인시 구간의 통과거리가 73km 란다)
숲길을 빠져 나오니 납골당이 있는 곳에서 공원묘지 길을 따라 내려오게되고
송전탑이 보이는 납골당에서 다시 우측에 보이는 울타타리를 따라 능선으로 진입한다.
송전탑을 지나고
이정표를 지나니
바로 안부에 도착하는데, 이곳이 개념도에서 가리키는 사거리로 안부이다. 이정표를 따라
가파르게 오르니 달기봉이고
조금내렸다가 다시 오르니465고지이다.
우측으로 방향을 전환하여 이어가니 삼각점이 나오고
위회하여 통과하는 봉우리에 산불감시초소가 있는지는 확인하지 못했지만 산불감시초소는 보이지 않는다. 전망대 공사중인 구봉산을 지나
(구봉산 이정표)
매봉산 갈림길에서 좌측으로 급하게 꺽어서 급한 내림길을 내려오니
골안마을 두창정수지 갈림길 이정표가 나오고
소실된 전원주택과 막 피어나는 수국이 있는 곳이 나온다. 좌측에 태영cc골프장이 있고, 좀더진행하니 라운딩하는 분들의 목소리도 들린다. 십수년전 이곳에서 라운딩한 기억이 되살아나 추억을 더듬어 보면서 마루금을 이어간다.
삼각점과 이정표가 있는 282.7고지를 지나고
두창저수지 갈림길 안부를 지나
조금오르니 정자와 운동시설이 있는 240고지가 나온다.
240고지를 조금내려오니 또다시 이정표가 나오는데 정맥길은 좌측으로 꺽여서 내림길을 내려간다.
벌목되어 조망이 트이는 곳에서 극동기상연구소를 조망하고 내려오다가 삼거리가 나오는데, 리본이 없는 곳이다. 이곳에서 우측으로 방향을 잡아야 정맥길이며, 다시 숲으로 들어갔다가 나오면
두창리 고개이다. 백암 택시를 불러놓고 땀에젖은 옷을 갈아 입고 택시를 기다리는데, 시내버스가 지난간다. 좀더 연구하였다면 버스로 이동 할 수도 있었는데, 백암에서 보니 시내버스가 무척자주 다닌다. 원삼면에서 백암면으로 가는 버스시간표는 2구간때 알아서 다시 적기로 하고 1구간 산행기 기록을 마친다.
11. 지도
'대간 및 정맥 > 한남정맥'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남정맥 제6구간 소사고등학교 ~ 장명이고개 (0) | 2012.06.24 |
---|---|
한남정맥 제5구간 지지대 고개 ~ 소사고등학교 (0) | 2012.06.24 |
한남정맥 제4구간 양고개~ 지지대고개 (0) | 2012.05.28 |
한남정맥 제3구간 42번국도 ~ 양고개 (0) | 2011.02.16 |
한남정맥 제2구간 두창리고개 ~ 42번국도 (0) | 2011.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