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 6. 24. 16:43ㆍ대간 및 정맥/한남정맥
한남정맥 제6구간 소사고등학교 ~ 장명이고개
1. 일자 :
가. 1일차 : 2012. 06. 24(일요일)
나. 2일차 : 2012.09.08(토요일)
2. 날씨
가. 1일차 : 맑음(6.23일보다 더 더운날씨였음)
나. 2일차 : 흐린 후 맑음(가을날씨)
3. 산행인원 : 나홀로
4. 이동수단
가. 갈때 : 지하철 → 소사역 → 1번마을버스 → 복사초등학교(소사고등학교정류장은 없음)
나. 올때 : 버스 → 백운역 → 지하철
다. 갈때 : 지하철 → 부평삼거리역
라. 올때 : 버스 → 계산역 → 지하철
5. 지도/지역
가. 지도 : 영진 1:5만 117, 116, 94쪽 및 개념도
나. 통과지역 : 경기도 시흥시, 부천시 소사구, 인천시 부평구, 남동구, 서구, 계양구
5. 산행구간/거리 : 소사고등학교 ~ 장명이고개 / 24.3km
소사고등학교 - 1.0 - 여우고개 - 1.8 - 성주산 - 3.6 -비루고개 - 2.7 - 철마산 - 2.5 - 만월산 - 2.4 - 십정동고개 - 2.1 - 장고개 - 2.3 - 아나지고개 - 1.6 - 철마산 - 4.3 - 장명이고개
6 . 산행시간 : 11시간 39분 / 소사고등학교(07:05) - 여우고개(08:02) - 비루고개(비루고개는 군부대 안이므로 향토음식마을 수현부락 입구를 비루고개 통과시간으로 하였음 ; 09:20) - 철마산(10:43) - 만월산(11:41) - 팬더아파트(12:03) - 팬더아파트(09:59) - 십정동고개(10:20) - 장고개(11:12) - 아나지고개(12:42) - 철마산(13:24) - 장명이고개(14:35)
7. 길찾기 주의할 곳 및 안내
가. 205.6봉(거마산 안내판)지나 소래산 방향으로 부대울타리를 따라 진행하다가 구철조망 울타리 지주번호 903번(CCTV녹화중) 에서 우측 방향으로 진행하여 군부대 훈련장을 따라 내려오면 됨
나. 서울외곽 순환고속도로 장수IC 주변 군부대 우회
1) IC 하부는 무내미마을 버스정류소에서 6차로를 무단횡단하여 향토음식마을 수현부락 방향으로 도로따라 진행 하던가 지하통로를 찾아서 횡단함
2) 도로를 따라 올라가다가 낡은 낙석방책이 시작되는 곳 우측으로 올라가던가(리본이 있음) 좀더진행하여 옹벽과 옹벽사이의 옹벽이 설치되지 않은 곳의 움막뒤로 올라 가면 됨
다. 철마산 지나 내려오다가 시멘트 포장도로 에서 10번 송전탑을 지나 한참을 내려온 후 화장장이 보이는 직전에 숲으로 들어가야 함
라. 만월산 내림길 약사사 방향으로 내려오면 끝까지 내려오지 말고 중간에서 우측으로 내려와서 팬더아파트 우측으로 진행해야 함(개념도의 정맥길은 팬더아파트 좌측방향 산으로 올라가서 진행해야 하나 내림길이 46번국도 절개지이고 통행흔적이 없음)
마. 팬더아파트 부근 : 팬더아파트 우측으로 진행(부평삼거리역방향)하다가 46번국도를 횡단하여 정양사 절 간판을 찾아 골목으로 들어가 절앞에서 우측으로 이동하여 좌측을 보면 동암산 입구 간판이 있으며 간판뒤로 임도로 올라가다가 우측리본을 보고 숲으로 들어가지 말고 끝까지 임도따라 올라 우측으로 진행하면 산불초소와 운동시설이 있는곳으로 진행
바. 백운공원 : 십정과선교를 지나 T형도로에서 좌측 석바위 방향으로 이동하여 백운공원 버스정류장을 지나 봉천사직전에서 우측 숲으로 들어가는 곳에 리본이 있으나 잡목지대이므로 T형도로에서 평역방향으로 이동하다가 만나는 임도를 따라오르는것이 수월함
사. 장고개 : 이정표와 정자를 지나고 2번째 만나는 정자에서 정자우측으로 내려가면 장고개가 나옴(장고개는 부대안엥 있고 배수로가 있음)
아. 아나지고개 : 돌탑을 지나 초가지붕 정자 하나를 지나 기존등산로 폐쇄안내문에서 좌측으로 내려가 도로를 따라 우측으로 가다가 한신그랜드 빌리지 안으로 들어가 고속도로 횡단보도를 건너가는것이 좋음(두번째 정자를 향해 가면 등로가 없고, 철문을 잠궈놓아 밭으로 들어가 절개지를 내려가야 하는데 매우 불편함)
8. 산행기록
" 1/2씩 나누어서 산행을 함"
아침에 일어나니 어제의 피로가 다 풀리지 않았고, 발이 부어있지만 산행을 이어가기 위해 뚝섬유원지역에서 첫차인 05:40분차를 타고 온수역에서 인천행으로 갈아 탄 후 소사역에 하차하여 역광장으로 나와 토스트를 사서 아침식사를 한 후 1번 마을버스를 타고 소사고등학교로 이동을 한다. 복사초등학교에서 내려야 하는데 한정거장을 더 가니 마을이 없어 1km쯤 더 간곳에서 하차를 하여 소사고등학교 앞으로 되돌아 오는데 이른아침이지만 벌써 땀이 흐르기 시작한다.
소사잔디구장 안내판이 보이는 도로로 올라가
배수지 정문 좌측으로 가파른 오름길을 오르니
임도(등로임)가 나와 우측 팔각정이 보이는 곳으로 진행을 하니
이정표가 나온다. 이정표를 따라 진행(등로 양호함)하다가 삼거리에서 좌측으로 내려가 밭을 지나니
여우고개가 나온다(동물이동통로를 설치해 놓았음) 여우고개를 지나
계단을 따라 오르니
팔각정이 나오고, 팔각정을 지나 한참을 진행하는데 등로도 양호가고 중간 중간이 이정표가 설치되어 있다. 전원주택지를 조성하느라 설치해 놓은 울타리를 지나 오르니
이정표가 있고 이정표를 따라 좌측으로 꺽어내리면
구름다리가 설치된 하우고개가 나온다. 구름다리를 건너 계단을 타고 한차례 오르니
217봉에 군부대 울타리가 보이고 이정표를 따라 마리고개 방향으로 진행을 하는데, 부대 울타리를 따라 양호한 등로를 따라간다.
부대아파트가 보이는 곳에서 우측으로 꺽어서 진행하니 이정표가 나오고 송학약수터 방향으로 내려가면 부대아파트 진입도로가 나온다. 도로를 따라 아파트 앞 까지 올라가면
또다른 이정표가 나오고 송학약수터 방향으로 진행하면
이정표가 있는데, 소래산 방향으로 계단을 타고 올라가면
거마산 표지판이 설치되어 있다. 이정표가 가리키는 소래산 방향으로 울타리를 따라 진행하면
구 철조망에 903번으로 표기된 곳(CCTV 녹화중)에서 우측으로
산불조심 현수막과 간이매점이 있는 곳으로 진행하면
208.4봉 삼각점이 나오고 계속진행하여 훈련장을 따라 내려가면
훈련장 안내표석이 나온다. 안내표석앞 도로를 따라 진행하니 훈련장 입구에 식당이 여러곳 있고
장수IC 하부 지하통로가 나와 지하통로를 통과하니
또다른 지하통로가 나오는데 군부대에서 출입을 통제하고 있다.
좌측도로를 따라 올라오니 불심정사 표지석이 나오고 표지석 반대편으로 내려오니 무내미마을 버스정류소가 있다. 좀더내려가면 횡단보도나 지하통로가 있을 것으로 생각하고 내려갔으나 보이지 않아 장수IC 진입램프 직전에서 차량이 뜸한 틈을 타고 중앙분리대(편도3차로의 식수대)로 무단횡단을 한 후 식수대를 타고 내려가다가 신호를 받고 서있는 차량 앞으로 나머지 3개차로를 횡단하여
향토음식마을 수현부락으로 들어가 보도를 타고 고개마루까지 올라간다. 장수 IC부터 고개마루를 지나 임도가 나오는 구간까지는 마루금을 군부대에서 점용하고 있어 우횟길이다. 고개마루 직전 낡은 낙석방책에 리본이 몇개 걸려있지만 지도에 철마로이정목이 있는것으로 표기되어있고, 선답자의 산행기에도 그렇게 명시되어 있어 무시하고 고개넘어 주공아파트가 있는곳 까지 갔다가 되돌아 와서
옹벽과 옹벽사이의 옹벽이 설치되지 않은 곳의 가로등 뒤쪽의
움막뒤로 희미한 산길을 따라 오르니
송전탑이 나오고 송전탑을 지나 오르다가 양호한 등로를 만나 등로를 따라 좌측으로 진행하니
군부대 후문으로 올라가는 임도가 나온다. 임도를 따라 10여m 내려간 후 좌측 숲으로 들어가 한차례 오름길을 오르니
187봉이 나오고 187봉에서 우측으로 진행하여 오르면
철마산이 나온다. 철마산에서 우측방향으로 진행해야 하며 진행하다가 체육시설이 있는 쉼터를 지나 내려오면
포장도로가 나오는데 좀더 내려가면
지도에 표기된 10번 송전탑이 나오고 이내
좌측으로 빠지는 진입로가 나오는데 그리로 진행하다가 만난 사람에게 SK 주유소를 물으니 내려가면 만월산 터널이 나온단다. 너무빨리 좌측으로 진입했다고 생각하고 우측으로난 등로를 따라 진행하다가 다시 포장도로에 올랐다가 만나는 좌측 진입로를 따라 내려오니 만월산 터널 요금소가 나온다. 요금소를 지나 내려오니 우측길에 계단이 보이는데 주유소를 찾을 목적으로 지나쳐서 도로를 따라 우회전하니 고개마루에 주유소가 보인다. 개념도엔 도로아래쪽으로 우회하여 만월산을 오르는 것으로 되어있으니 도로를 건너 진입하면 되나 도로를 횡단하는 보도육교가 새로설치되어 있길래 고개마루로 올라가다가 계단을 타고 오르니
이정표가 나온다.
보도육교를 지나 등로를 따르니
송신탑이 나오고
좀더 진행하니 팔각정이 나온다. 팔각정을 지나 좀더진행하니
태극기가 있는 정상엔
정상석이 있다.
내림길에 만난 이정표에서 약사사 방향으로 진행하여
팬더아파트 까지 진행하여 마루금을 헤아려보니 팬더아파트 뒷쪽의 산으로 들어가는 것이 맞아서 팬더아파트 뒤 산으로 들어가 절개지에서 배수로를 따라 내려가 46번국도로 내려와 날씨도 덥고 어제 산행의 피로가 몰려와 더이상 진행이 어려워 여기서 산행을 마무리 하고 나머지 구간은 다음에 진행하기로 하고 버스를 타고 백운역에서 지하철을 타고 집으로 복귀한다.
2번째 산행 엊저녁 일기예보에 비소식이 있어 토요일 산행을 취소하고 일요일 산행을 하려고 생각하였으나 아침에 일어나보니 비가오지않는다 하여 산행채비를 하여 집을 나서 전철을 타고 부평삼거리 역에 내려 46번국도를따라
정양사 간판있는곳에서
우측 골목으로 들어가 절앞에서 우측으로 막다른 골목까지 이동하여 좌측에 보니
동암산 입구 간판이 보인다.
임도를 따라 올라가다가
함석울타리가 있는 우측에 리본이 보여 그리로 들어가 산복부를 따라 가는데 맥길이 아니어서 좌측 능선으로 오르는 길을 따라 올라가니
체육시설과 산불감시초소가 있는 능선마루가 나온다. 임도에서 직진하여 올라가 우측으로 방향을 틀어진행하면 수월할 것인데 리본을 보고 들어간 것이 잘못이다. 양호한 등로를 따라 진행하여
1호선 전철을 횡단하는 십정과선교를 지나 부평아트센터앞에서 횡단보도를 건너 직진한다.
도로표지가 있는 막다른길에서 횡단보도를 건너 좌측 석바위 방향으로 조금이동하면
백운공원 버스정류장을 지나
봉천사 직전의
우측 숲속에 리본이 보인다. 잡풀과 잡목을 헤치고 올라가
송전탑을 통과하여 임도를 따라 마루금에 올라선다. 잡풀과 잡목을 피하려면 석바위 방향이 아닌 부평방향으로 조금 이동하여 좌측산으로 오르는 임도를 따라 올라야 한다.
산불감시탑과 송전탑이 있는 봉우리를 우회하여 양호한 등로를 따라가면
구루지 고개가 나오고 구루지 고개를 횡단하여 진행하다가
송전탑을 지나고 이정표를 따라 맥길을 이어가면
이정표와 정자를 지나며 또다른 정자가 나오면 정자우측으로 진행하여 내려가면
배수로와 군부대 고가초소가 나온다. 이곳이 장고개인데 배수로를 횡단하여 올라가면
장고개에 대한 설명판이 있다.
산불감시초소를 지나고
깃대가 휘어진곳이 철마산인데 철마산에서 좌측으로 내려가면
한남정맥 안내판과
새사미 아파트 정문이 나온다. 정문을 빠져나가
도로를 횡단하여
좌측으로 조금가면 버스정류장 우측에 보이는
계단을 따라올라가
삼각점봉에서 우측으로 이어간다.
원적산을 지나고
원적정(개념도에는 철마정)에 도착하여 간식을 먹은 후
원적정 유래를 살핀 후 직진길을 이어가면
삼거리 돌탑이 나온다. 우측방향으로 내려가면
초가지붕의 정자와 등산안내판이 나오는데 좌측이나 우측으로 우회하라고 되어있다.
이 안내판에서 좌측으로 100m를 내려가 도로를 따라가는 것이 수월하다.
안내판을 지나 두번째 정자를 지나 내려가면 빠져나갈길이 없어 좌측 밭으로 들어가 절개지를 내려가야 하는데 잡풀과 농작물이 방해하므로 진행이 어렵다.
밭을 빠져나와 아나지고개 청천동 버스정류소앞에서
도로를 횡단하여
공원안으로 들어가
어린이 놀이터를 지나
좌측을 보니 한신그랜드 빌리지쪽을 보니 등산로 폐쇄 안내문있는 곳에서 좌측으로 내려와 도로를 따르다가 빌라를 지나면 될것을 맥길을 고집하다가 괜한 수고만 한 것 같다.
경인고속도로 보도육교를 지나
우측의 하나아파트 입구에서
아파트 단지로 들어가
가정동2차 하나아파트 안내석 우측으로 들어가
계단을 타고 오르면
이정표가 나오는데 육각정자 방향으로 진행하면 된다.
천마산 안내판과 이정표를 지나
육각정자에 도착하니 주변의 조망이 일품이다.
청라지구와 영종도등이 한눈에 들어오고 뒤쪽으로는 인천시내 아파트군이 한눈에 들어온다.
헬기장이 있는 철마산을 지나고
차례로 헬기장을
두
세개를 지나오르니
폐초소가있는 286봉이 나오고 이어
돌탑이 있는 중구봉이 나온다.
이정표를 따라 계양산 방향으로 내려가다가
장고개 생태통로 좌측으로 난 계단을 타고 내려와
도로변에서 산행을 종료하고 생태통로를 통과하여
계산동 자연풀장앞에서 버스를 타고 계산역으로 이동하여 전철을 타고 서울로 복귀한다.
11. 지도
'대간 및 정맥 > 한남정맥'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남정맥 제8구간 대곶사거리 ~ 보구곶리 (0) | 2012.12.19 |
---|---|
한남정맥 제7구간 장명이고개 ~ 대곶사거리 (0) | 2012.12.02 |
한남정맥 제5구간 지지대 고개 ~ 소사고등학교 (0) | 2012.06.24 |
한남정맥 제4구간 양고개~ 지지대고개 (0) | 2012.05.28 |
한남정맥 제3구간 42번국도 ~ 양고개 (0) | 2011.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