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덕지맥 제3구간 아침치 ~ 평창강, 주천강 합수점

2021. 9. 6. 08:36백두대간의 지맥들/5. 백덕지맥

백덕지맥 제3구간 아침치 ~ 평창강, 주천강 합수점

 

1. 일자 : 2021. 9. 5(일)

 

2. 날씨 : 맑음 

 

3. 산행인원 : 나홀로

 

4. 이동수단

가. 갈 때 : 승용차로 안세2교로 가서 주차 후 주천택시타고 아침치 가서 산행

나. 올때 : 안세2교에 주차해 둔 승용차 회수 후 복귀

 

5. 지도/지역

가. 지도 : 인터넷 지도, 오룩스맵

나 통과지역 : 영월군 일원

 

6. 산행구간/ 거리/시간 : 아침치 ~ 합수점 13.27km(7시간 15분) / 오룩스맵 기준

백덕05_한반도_san ai_171109.gpx
0.07MB

이 트랙은 산행에 참고한 트랙임

2021-09-05 백덕지맥 3구간 아침치 ~ 합수점 .gpx
0.07MB

이 트랙은 본인이 산행한 트랙임

 

7. 산행기록

 

"137번째 지맥 마무리"

어제 백덕지맥 2구간을 산행하고 주천에서 1박을 한 후 아침식사를 하고 안세2교로 가서 주천택시를 불러타고 아침치로 가서 백덕지맥 마무리 산행을 한다. 

오늘도 날씨는 맑음이다. 아침치 임도앞에서 하차하여 임도를 따라 올라간다.

임도마루 송전탑을 지나 

임도삼거리서 윗쪽에 표지기가 보이는 비포장 임도를 따라 가다가 잡목이 적은 곳으로 올라쳐서 맥길에 들어선다. 

출입금지 안내판이 있는 곳에서

 좌측 채석장을 향해 내려간다. 

차 바퀴를 따라 좌측에서 우측으로 갔다가 다시 좌측으로 가서 채석장 바닥을 가로질러 좌측에 보이는 능선길(찻길)을 따라 올라가 산마루 부근에서 트랙을 따라가면 된다. 채석이 진행됨에 따라 등로가 바뀐다. 

가이식장 뒤로 진행하면, 채석장을 벗어난다. 가이식장은 칡넝쿨과 잡풀이 우거져 우측 가장자리로 진행해야 한다. 

606봉을 지나고

518봉을 지나 

통두둑 마을이 보이는 벌초를 한 묘지에서 도로로 내려서서 도로를 따라 진행하여

통두둑과 

광탄 표지석 중간으로 올라가면 비교적 양호하고, 완만한 등로가 이어진다. 

돌탑과 체육시설이 있는

367봉을 지나 좌측으로 내려서면 

신천고개가 나온다. 이곳에도 체육시설과 벤취가 있다.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이용할까? 덕분에 벤취에서 쉬었다가 455봉으로 올라갈 수 있었지만..

한참을 올라가 돌탑이 있는

455봉에 올라 한숨돌리고 돌탑을 지나 내림길을 내려간다. 

88번국지도를 건너서 

357봉 오르기 직전에 조망이 트이는 곳에서 시멘트 공장을 사진에 담고

357봉을 넘어 내려가니

컨베이어벨트 시설이 있다. 좌측으로 올라 

336봉을 찍고 내려가니 용도 폐기된 비닐하우스가 나온다. 경작지였는데 지금은 휴경중이고 폐쇄된 건물도 보인다. 농지 진입로를 따라 나갈려고 가는데, 누렁이와 흰둥이가 짖어댄다. 경작지를 가로질러 맥길로 올라가니 좌측으로 양호한 등로가 나온다.

이정표도 있는데, 습지전망대는 지났다. 생태문학관은 신천중학교 부근인데, 이곳에도 있나 하고 잘 다듬어진 등로를 따라 진행하는데

한반도지형에 함경북도 지점 이란다.  계단을 따라 내려가다가 

평창강과 주천강 합수점을 사진에 담았는데, 이곳이 한반도 습지이고 지나친곳이 습지 전망대 였다.

계단을 내려오니 이정표가 나온다. 한반도 지형은 생략하고 도로를 따라 안세2교로 간다. 

한반도습지 생태 탐방로 안내판을 보니 담비도 서식을 하나보다. 새벽에 너구리는 보았는데.. 담비는 백덕지맥과 주왕지맥을 지나오면서 보았고, 뱀도 여러종류를 보았다. 생태계가 살아있다는 증거이지만 멧돼지는 그래도 약간 겁이난다. 서로가 서로를 인지하지 못하고 조우를 하였을 때 잘못되면 피해를 입을 수 있으니...

안세2교를 지나 주차해 둔 차량을 회수하여 영광으로 돌아간다. 5시간에서 6시간을 운전해야 한다. 산행을 하러 갈 때에는 설레임이 있지만 집으로 돌아 갈때에는 피곤하니 어서 가고싶은 마음이 앞선다. 그리고 안전운전을 해야 하고, 산행 피로로 가끔은 졸립기도 하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