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1. 2. 05:40ㆍ호남의 지맥들/18. 화원지맥
화원지맥 제1구간 뚜드럭재 ~ 첨봉분기점
1. 일자 : 2018. 12. 30(일)
2. 날씨 : 눈온 후 맑음
3. 산행인원 : 나홀로
4. 이동수단
가. 갈 때 : 해남종합버스터미널 → 해남-당두간버스(07:00) → 화내정류장하차 후 도로따라 도보이동
나. 올때 : 해남택시타고 해남으로 감
5. 지도/지역
가. 지도 : 인터넷 지도와 오룩스맵
나 통과지역 : 전남 해남군일원
6. 산행구간/ 거리/시간 : 화내정류장 ~ 뚜드럭재 ~ 첨봉 ~ 자경고개 23.46km(오룩스맵 기준) / 09시간 06분
7. 산행기록
"86번째 지맥 시작"
어제 해남 종합버스터미널앞 참숫불가마사우나 찜질방에서 1박을 하고 새벽에 일어나 아침밥 먹을곳을 찾아보는데 식당이 보이지않아 터미널내 편의점에서 김밥과 컵라면으로 아침식사를 하고 버스타는 시간이 많이남아 해남관광안내도를 보고 땅끝기맥, 화원지맥, 선은지맥길을 짚어본다.
07:00에 출발하는 해남-당두간 버스를 타고(매표소앞에는 06:40분으로 되어있으나 잘못된 것임)
화내정류장에서 내려
뚜드럭재로 올라가는데 뚜드럭재 앞봉이 잡목봉이라 생략하려고 좌측임도를 따라
아침재 임도에 도착하여 좌측 벌목지를 따라 올라가는데 눈이내리고 경사가 심해 길이 미끄럽다.
(이곳에 이정표가 있음)
291봉까지는 잡목이 많았으나 봉을 넘어가니 양호한 등로가 나온다. 양호한 등로를 따라
송전탑을 지나 440봉을 오르는데
약하지만 새벽에 내린눈이 약한 눈꽃을 만들어 놓았다.
산불감시탑을 지나
금강산에 오르니 데크전망대가 있는데, 조망이 무척 좋다.
해남읍내와 멀리 땅끝지맥의 두륜산이 보이고
뒤돌아서는 흑석지맥 산줄기가 보인다.
금강산을 내려와 이정표를 따라 만대산으로 향한다.
죽산성 성터를 오르니
너른 공터가 나온다.
491 삼면경계봉에서 우측으로 진행하여
금강재에 내려서서
잠시 휴식 후 만대산으로 진행한다.
395봉을 지나
만대산에 도착하니 전망데크가 있다.
진행방향은 금강재 방향이고
전망데크에서 해남읍내를 조망해보고 지맥길을 이어간다.
안부에서 금강저수지 방향으로 올라가
헬기장에서
우슬치 방향으로 진행한다.
447암봉은 우측으로 우회하여
로프가 처친곳에서 로프를 넘어가야하나 잡목이 심해 우측 양호한 등로를 따라 내려가니
출렁다리가 나오고 길이 막혔다. 좌측휀스옆으로 내려가
전라남도학생교육원을 통과하여
도로를 따라
우슬재에 도착하여 라이온즈 표석뒤로 오른다. 잡목을 헤치고 273봉을 지나
381봉 직전 조망처에서 땅끝기맥을 조망해 본다.
381봉을 지나
암봉을 만나는데
416봉이다.
해남읍내와
강진방향
땅끝기맥의 산군들을 조망해 보고
덕음산 갈림길에서 잡목을 헤치고 내려서니
송전탑이 나온다. 이곳에서 송전탑뒤로 진행해야 하나 잡목이 심해 송전탑 직전에 우측으로 조금내려가면
임도가 보인다. 임도를 따라 내려가
마나는 이정표서 상가리 백호리 방향으로 진행한다.
첨봉이정표가 나오는데, 백호리를 거쳐 가는길인가 보다.
상가리 마을을 지나
구룡목 안내판이 있는
구룡목고개에서
이정표뒤로 올라 산을 넘어가야 하나 우측 도로를 따라 우회하여
138봉뒤 임도에 도착하여 잡목봉인 365봉은 생략하고 임도를따라
건들재에 도착한다.
건들재에서 384봉도 생략하고 도로를 따라
내려가 첨봉이정표가 있는 곳에서 도로를 따라 올라가면
자경고개가 나온다.
고개넘어가니 좌측에 첨봉이정표와
산자락길 안내판이 있다. 등로가 양호할것으로 생각하고 올라가는데 오름길에 잡목이 나오다가 임도가 나오길래 임도가 첨봉까지 이어지나 생각했지만 편백나무 벌목을 위해 만들어진 임도라 중간에서 끝나고
첨봉직전에서는 벌목된 나무들이 어지럽게 널려있어 더이상 오르지 못하고 되돌아 내려와 해남택시를 호출하여 택시를 타고 해남으로 가서 내일 2구간 산행을 위해 다시 찜질방에서 하룻밤을 지낸다.
8. 지도
'호남의 지맥들 > 18. 화원지맥'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원지맥 제3구간 평덕버스정류장 ~ 목포구등대 (0) | 2019.01.14 |
---|---|
화원지맥 제2구간 뚜드럭재 ~ 평덕버스정류장 (0) | 2019.0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