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12. 25. 15:05ㆍ낙동의 지맥들/20. 비학지맥
비학지맥 제2구간 원고개 ~ 소태재
1. 일자 : 2014. 12. 25(목요일)
2. 날씨 : 맑음
3. 산행인원 : 나홀로
4. 이동수단
가. 갈때 : 소태재아래 중앙고등학교앞 → 문덕 06:20분발 신광면 거쳐 냉수가는 100번버스 흥곡2리하차
나. 올때 : 소태재 → 중앙고등학교 앞 차량회수 복귀
5. 지도/지역
가. 지도 : 영진 1:5만 481쪽 및 개념도
나. 통과지역 : 경북 포항시 신광면, 기계면, 흥해읍, 북구, 경주시 강동면
6. 산행구간/거리 : 원고개 ~ 소태재(7번국도)/ 16.1km
원고개 - 2.3 -신광/흥해읍경계 - 2.5 - 도음산 - 2.0 - 흥해/연일읍 경계 - 2.9 - 31번국도 - 3.2 - 연화재(31번국도) - 3.2 - 소태재(7번국도)
7. 산행시간 : 4시간51 분/원고개(07:29) - 신광/흥해읍경계(08:20) - 도음산(09:06) - 흥해/연일읍경계(09:36) - 31번국도(10:53) - 연화재(11:17) - 소태재(12:20)
8. 길찾기 주의할 곳 및 안내
학전로타리 부근 : 31번 국도로 내려서서 국도를 따라 연화재로 가던가 고속도로를 따라 가다가 맬길을 따라 가는 방법을 선택해햐 함
9. 산행기록
"크리스마스"
오늘이 성탄절이라 그동안 미루어 두었던 내연지맥 마무리 산행을 한다. 추석 연휴 마지막날 3구간을 먼저하고 비학과 내연지맥을 연결한 1구간을 낙엽이 질 때 한 후 오늘에야 2구간 산행을 하게 되었다.
문덕에서 06:20분에 출발하는 냉수행 100번 버스를 타기위해 06:30분에 집을 나가 소태재아래 중앙고등학교 건너편에 차를 주차 한 후 중앙고등학교 버스 정류장에서 100번 버스를타고 신광면 소재지를 거쳐 흥곡2리에 하차를 하여
원고개를 사진에 담고
길건너 숲으로 들어가 비학지맥 제2구간 산행을 시작한다.
산짐승이 들어오지 못하게 설치한 울타리를 비껴가며 산으로 오르는 길에 묘목밭을 지나고 사과밭을 지나
농장을 잇는 도로를 건너
보리밭을 가로질러 올라가
월성손씨 묘소 좌측으로 올라가 숲으로 들어가 오름기을 오르는데
184.5봉 바로아래에서 임도를 만나 184.5봉을 오르지 않고
임도를 따라 우측으로 진행한다.
임도를 따라 가다가 261봉을 향해 임도 우측의 능선마루로 올라 261봉을 지나
등로가 갈리는 곳에서 우측으로 올라가
333봉을 오르지 않고 우측으로 우회하여 진행한다.
안부 성황당을 지나
송전탑아래
삼거리에서 도음산 방향으로
송전탑 봉으로 올라 갔다가 내려가는길에
두번째 성황당을 만난다.
성황당 이정표에서 이정표를 따라 내림길을 내려가
이정표가 있는
도음재에서 길건너 가파른 오름길을 오르지않고 좌측 도로를 따라가
이정표가 있는 곳에서 도음산 방향으로 오름길을 오른다. 우측 안내판에 산골이란 말이 나오는데, 읽어보니 산에있는 나무아래 유골을 묻는 것을 산골이라 하는것 같다.
그리고 등로 주변 나무아래 돌로 표식을 해놓고 꽃을 꼽아놓은 것을 보니 이곳에 산골을 한 장소라는 생각이 든다. 산골을 하지마라는 안내판과 배치되긴 해도 그리 잘못된 것 같지않다는 생각이 든다. 자연에서 왔다가 자연으로 돌아가는 삶이라면 친숙한 자리나 가고싶은 자리로 돌아가는 것도 괜찮지 않을까? 도시주변이다 보니 금지해야 하는 것인지도 모르지만....
팔각정을 지나
도음산 정상에 오르니
이곳이 옛 흥해군의 진산이었다는 안내문이 있다. 좌측아래가 흥해이지만 조망이 트이지 않지만
우측으로는 기계와 안강일대의 조망이 훤하게 트인다.
임도를 따라 진행하다가 만나는 삼거리에서
팔각정 방향으로 진행하다가
팔각정 갈림길에서
송신탑을 향해 임도를 따라간다.
김소위 전적비 갈림길을 지나
송신탑 직전에서
표시기를 따라 숲으로 들어가니 송신탑에서 우측으로 꺽어 내려오는 길과 만난다.
295봉을 지나
흥해, 연일 갈림길에서 좌측으로 꺽어 진행하여
내려가다가 소나무 숲을 지나 내려가는데 우측아래에서 자동차 바퀴음이 들려오더니
고속도로 절개지위에 도착한다. 절개지를 따라 가다가 우측으로 내려가
고속도로에 내려서서 좌측으로
학전3교를 건너가니 고속도로와 국도를 연결하는 연결로가 나온다. 고속도로를 따라 가는 방법도 있지만 연결도로를 따라 내려가
국도31호선에 내려와 길을 건너 31번 국도를 따라 가
연화재를 넘어
연화재에서 맥길에 복귀하여 임도를 따라 올라가니
공동묘지 좌측위에 산불초소가 보인다. 산불초소를 오르지 않고
묘지길을 따라 직진하여 마루금으로 올라가
송전탑을 바라보면서 맥길을 이어간다.
포항여자 전자고 갈림길과
운동시설을 지나는데 운동시설 주변 쉼터에서 조망이 트이면서
영일만 일대가 한눈에 들어온다.
옛 연화재를 건너
송전탑을 지나 삼보사 뒷봉에서 좌측으로 이어가서 소치재로 가야하나 우측으로 내려가니
7번국도 소치재 아래에서 산행을 마무리하고 우측 아래로 내려가 길건너에 세워둔 차를 회수하여 집으로 돌아오니 비학지맥 종주를 마무리하게 된다.
10. 지도
'낙동의 지맥들 > 20. 비학지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학지맥 제3구간 소태재(7번국도) ~ 죽천초교 (0) | 2014.12.25 |
---|---|
비학/ 내연지맥 제1구간 샘재 ~ 원고개 (0) | 2014.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