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학/ 내연지맥 제1구간 샘재 ~ 원고개

2014. 10. 10. 12:53낙동의 지맥들/20. 비학지맥

비학/ 내연지맥 제1구간 샘재 ~ 원고개

 

1. 일자 : 2014. 10. 09(목요일 : 한글날)

 

 

2. 날씨 : 맑음

 

 

3. 산행인원 :  나홀로

 

4. 이동수단

 

가. 갈때 : 포항시외버스터미널 → 500번버스 → 기계환승센터 →상옥리행버스 샘재 경북수목원정문앞 하차

 

나. 올때 : 원고개(흥곡2리) → 17:25분경 100번버스타고 포항시외버스터미널와사 집으로 복귀

 

5. 지도/지역

가. 비학지맥과 내연지맥

 1) 비학지맥

    비학지맥(飛鶴枝脈)은 낙동정맥 가사령 남쪽 3.1km지점의을 지나 삼각점이 있는 709.1봉 헬기장에서 동쪽으로 가지를 쳐, 성법령을 지나 811m봉에서 동북으로 내연지맥을 떨구고 남진내지 남동진하며 비학산(762m),원고개, 도음산(383m)을 지나 대구-포항고속도로의 대련IC까지 내려가선 기수를 동북으로 돌려 연화재,소태재, 국기봉(101m),을 지나고 삿갓봉(94m), 천마산(83m) 봉화산(78m)옆을지나 포항시 북구 우목리 방파제에서 그 맥을 다하는 도상거리 45.3km되는 산줄기를  말한다.

 2) 내연지맥

    내연지맥(內延枝脈)은 낙동정맥의 가사령 남쪽 3.1km에 위치한 709.1m봉 헬기장에서 동쪽으로 분기한 비학지맥(45.3km)이 성법령(921번도로)을 건너 811m봉에 이르러 비학지맥은 남쪽으로 비학산(762m)을 향해가고,  한줄기는 북동으로 가지를 쳐 마복산(괘령산.868m).매봉(833m),내연산 향로봉(932m), 내연산 삼지봉(711m), 동대산(791.3m), 바데산(646m),매티재를 지나 진등재에 내려서기전 무명봉에서  남동으로 내려가 천재봉(77m)을 지나 영덕군 강구항에서 끝을 맺는 도상거리 42.8km의 산줄기를 말한다. 

나. 지도 : 영진 1:5만 481쪽 및 개념도

 

다. 통과지역 : 경북 포항시 신광면, 죽장면, 기북면, 기계면

 

6. 산행구간/거리 : 샘재 ~ 원고개 / 22.7km

    샘재 - 3.0 - 괘령산 - 2.0 - 811봉 - 0.8 - 분기점 - 0.8 - 811봉 - 3.75 - 678.8봉 - 3.75 - 비학산 - 1.3- 두륙봉(628봉) - 3.3 - 346.6봉 - 0.7 - 산불감시초소 - 3.3 - 원고개(흥곡2리)

 

7. 산행시간 : 시간 분/ 샘재(07:31) - 괘령산(08:53) - 811봉(09:45) - 분기점(10:08) - 811봉(10:43) - 678.8봉(11:48) - 비학산(13:12) - 두륙봉(13:54) - 346.6봉(15:14) - 산불감시초소(15:26) - 원고개(17:00)

8. 길찾기 주의할 곳 및 안내

가. 비학, 내연 지맥 분기점 : 통신탑 가기전에 좌측으로 분기됨

나. 비학산 : 정상석지나 내림길 삼거리에서 우측 직진방향임

다. 222봉 : 222봉 오르기전 임도에서 좌측으로 내려가 원고개로 가는것이 좋음(임도이후부터 길이희미하여 진행이 어렵고, 잡목과 가시넝쿨에 수십곳이 긁혔음)

9. 산행기록

"가을색"

 지나 3, 4, 5일 연휴에 산에가지 못해 오랜만에 산에가는 것 같다. 새벽 4시반에 일어나 산행준비를 하여 포항시외버스 터미널로 가서 문덕에서 청하로 가는 2번째버스인 05:40분행 버스를 타고 청하 환승센터로 가는데, 오늘이 휴일이어서인지 산꾼들이 함께 버스를 타고 간다. 산에가는 일은 역시 즐거운 일인가보다. 소풍가는 아이들마냥 마음이들떠서 큰소리로 산에가는 이야기를 하고있다. 청하환승센터에서 차를 바꿔타고

수목원입구인 샘재에 내려

상옥슬로우시티를 안내하는 간판 좌측으로 올라가 능선마루에 올라서니 송이를 지키는 사람들이 설치한 텐트가 보인다.

통신탑을 지나

내려선 안부에도 텐트가 있어 조심조심 지나가는데, 간밤에 텐트에서 잔 사람이 없는것 같다.

다시 안부에 내려서서

683봉을 좌측사면으로 건너가

869.1봉에 오르니 헬기장과

괘령산 표석이 있다.

성황당 흔적이 있는 괘령재를 넘어가니

통신 안테나가 있고

811봉 초입에 비학지맥 분기점 안내판이 있다.

811봉 통신탑을 지나고

산불감시초소를 지나

돌탑바위에 베낭을 벗어놓고 급경사 내림길을 내려가

성법령에서

우측아래 낙석방책이 끊긴 자리로 들어가

비학/내연지맥 분기점에 오른다.

 분기점 안내판을 확인하고

성법령을 거쳐

오르다가 조망바위에서 기북면 계곡과 낙동정맥군을 조망하고

산불초소를 거쳐

비학지맥길로 접어든다. 

양호한 등로를 따라 가다가

570.5봉을 우측사면으로 우회하여

678.8봉을 지나고

655봉을 지나

내려선 안부에 119 구조안내판이 설치되어있다.

 119구조안내판이 설치된

716봉을 지나

비학산에 오르니 조망이 좋아 주변이 한눈에 들어온다.

정상석을 사진에 담고

내려선 그늘에 쉬었다가 지도를 보니 갈림길에서 좌측으로 진행하는 것으로 표기되어 그리로 내려갔다가 맥길이 아니어서 되돌아와 우측으로 내려간다.

자연휴양림 방향 이정표를 따라가면

나오는 이정표에서는 법광사 방향 이정표를 따라간다.  

능선상의 612봉을 지나

두릅바위를 통과하니

두륙봉 안내판이 있다. 좀더 나아가

만나는 이정표에서 활공장 방향으로 진행한다.

조망처에서 신광면 일대와 동해안 및

진행방향의 맥길을 조망하고

416봉을 지나

안부에 내렸다가

올라서니 활공장이 나오는데 활공중인 사람과

활공장을 사진에 담고 그늘에 쉬었다가

내려서니 임도가 나온다. 임도를 건너

347 삼각점봉에서 잡목에 숨겨진 삼각점 확인은 생략하고

안내판만 사진에 담고 맥길을 이어가는데 오름길에서는 힘이 부친다.

산불초소에서 좌측으로 진행하며

안부 임도를 건너

흥곡재에서

도로를 따라 좌측으로 조금내려가 도로가 꺽이는 곳에서 다시 숲으로 들어간다.

면 경계봉에서 좌측으로 진행하여

내려선 임도에 임도를 따라 좌측으로 내려가는 임도를따라 원고개를 갈 수 있지만 맥길을 고수한다고 도로를 건너 올라갔는데 잘못된 판단이었다.

훈증목을 쌓아놓은

222봉 까지는 그래도 갈만 했는데 그 이후로는  등로가 희미하고 잡목과 가시넝쿨에 온몸이 할퀴어 맥길을 고수한 것이 후회가 된다.

186봉에서 좌측으로 내려서야 하는데 길이없어 좀더 나아가 만나는 마지막봉에서 좌측으로 내려서니

원고개 남쪽의도로가 나온다. 도로를 따라

올라가

흥곡2리 버스정류장이 있는 원고개에서 산행을 마치고 25분여를 기다려 100번 버스를 타고 포항시외버스 터미널까지 와서 주변에 세워둔 승용차를 회수 집으로 복귀한다.

 

10. 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