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북명성지맥 제1구간 광덕산 ~ 여우고개

2012. 9. 10. 11:39한북의 지맥들/4. 명성지맥

한북명성지맥 제1구간 광덕산 ~ 여우고개

 

 

1. 일자 : 2012. 09. 09(일요일)

 

2. 날씨 :  맑음

 

3. 산행인원 : 나홀로

 

4. 지도/지역

 가. 지도 : 영진 1:5만36, 35쪽  및 인터넷지도

 나. 통과지역 : 강원도 화천군 사내면, 철원군 서면, 갈말읍,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 영북면

 

5. 산행구간/거리 : 광덕산 ~ 여우고개(접근로 2.05km 제외)   / 20.51km

    광덕산 - 2.2 -815봉 - 2.13 - 자등현 - 2.23 - 각흘산 - 2.25 - 약사령 - 2.58 - 명성산 - 3.27 - 645봉 - 3.0 - 바깥덕재 - 1.49 - 여우봉 - 1.37 - 여우고개

 

6 . 산행시간 : 08시간 58분/  광덕고개(08:17) - 광덕산(09:10) - 815봉(09:56) - 자등현(10:37) - 각흘산(11:47) - 약사령(12:44) - 명성산(13:52) - 645봉(15:13) - 바깥덕재(16:03) - 여우봉(16:40) - 여우고개(17:15)

  

7. 길찾기 주의할 곳 및 안내

    전반적으로 양호함

 

 8. 지맥

 가. 한북명성지맥

 

  나. 대득지맥

  대득지맥은 한북정맥 광덕산에서 분기한 명성지맥이 자등현으로 내려섰다가 각흘봉 정상 직전에서 북으로 가지를 내서  김화남대천의 서쪽 끝에 이르는 산줄기다. 이지맥의 끝은 북위 38˚ 17´ 17˝로서 현재 우리가 갈 수 있는 대간. 정맥. 기맥. 지맥 중 최북단에 위치한다. 적근산이나 칠절봉 보다 북쪽이다(향로봉보다 아래이지만 이곳은 마루금을 따라가지 못한다).

줄곳 오성산을 바라보며 오른쪽으로는 적근산. 대성산에서 광덕산으로 이어지는 한북정맥, 왼쪽으로는 보개산지장봉에서 금학산. 고대산으로 이어지는 보개지맥을 그리고 마지막 구간에서는 왕재봉 전승봉을 중심으로 왕재지맥도 가늠해 볼 수 있다.

 

 

 9. 교통

  가. 갈때 : 강변역에서 06:50분발 사창리행 버스를 타고 광덕산에서 내려 산행시작 

나. 올때 : 이동택시로 이동으로 이동 버스로 강변역까지 이동

     이동택시 : 031-532-8934

   

10. 산행기록

      "가을맞이산행, 추억찾기"

  새벽6시에 집을나서 노룬산시장앞에서 2224번 버스를 타고 동서울종합터미널로이동하여 사창리행 첫차인 06:50분 직행버스를 타고 광덕산까지이동하여 버스에 내린 후 정거장건너 쉼터에서 산행채비를 하고

마을안으로 들어가

산행 이정표 뒤쪽의 창고옆으로 등산로를 따라올라 광덕산을 향한다.

 이정표가 광덕산을 오를 때까지 곳곳에 설치되어 있으며, 한참을 오르니

 광덕산이다. 요기를 하고

 이정표를 따라 백운계곡주차장 방향으로 풀잎에 맺힌 이슬을 헤치며 명성지맥을 시작한다.

백운계곡 주차장 갈림길을 지나고 

 삼각점이 있는 박달봉 갈림길인 825봉에서

 이정표를 따라 각흘산 방향으로 내림길을 내려간다.

 전망암 헬기장을 지나고

진지와 

 박달봉 유해발굴 종결지점을 지나

 벙커를 넘으니

 임도가 나온다. 임돌르 따르다가

 헬기장이 있는 453.2봉을 지나자 말자

 좌측 숲으로 들어가 내려가니

철원군과 포천군의 경계인 자등현이다.

강원도 안내판 건너 공터에서

 임도와 산으로 오르는 갈림길에서 산으로 올라 

 양호한 등로를따라 진행하다가 505봉을 넘어 내려가니

 경고판이있는 안부이다. 편안한 등로를 따르다가 막바지에 가파른 오름길을 오르니

 헬기장이 나오고 좌측으로 이어가

만나는 대득지맥 분기점의 헬기장엔 한무리의 산꾼들이 점심식사를 하고 있다. 우측 대득지맥을 조망해보고 좌측으로 이동하여 

 각흘봉에 도착한다. 주변의 조망이 좋아 철원평야와 용화동 저수지가 내려다 보이고 한북지맥과 화악지맥의 산군들이 눈에 들어온다.

 험한 바윗길을 로프를 잡고 조심스럽게 내려와

각흘계곡 갈림길을 지나고  

 민둥능선을 지나 숲으로 들어와 765봉을 지나

헬기장이 있는 715봉에서 우측으로 꺽어 급하게 내려가니 

약사령이다. 리본을 따라 가파른 계곡길을 올라 능선에 올라서니

헬기장이 나오고 억새능선이 펼쳐진다.

두번째 헬기장에서 좌측 훈련장쪽의 마루금을 조망해 보고

명성산과 억새능선을 조망해본다.

능선갈림길과

억새와

등산안내도가 있는

안부갈림길을 지나 주변을 조망하며 억새능선을 오르니

명성산 갈림길이다.

명성산에 올라

명성산의유래를 살피고 되돌아 오는길에 30여년전 이곳에서 근무하던때를 회상하면서 철원평야와 그 주변을 조망해 본다.

삼각봉을 사진에 담고

산안고개갈림길 이정표를 지나 되돌아 나와 삼각봉과 암봉은 우회를 하고

돌탑봉을 지나고

산안고개 갈림길을 지나며 조망이 좋은곳에서 강포리 저수지와 산안고개를 내려다 본다.

팔각정 0.5km 이정표를 지나면서

산정호수를 사진에 담고

현위치 5.1이정목에서 조금더 진행하여 좌측아래 경고판을 보고 잡풀을 헤치면서 내려가

경고판 뒤의 철조망을 넘어간다. 잡목과 잡풀을 헤치며 진행하다가 능선마루에서 우측으로 내려가며 넝쿨식물과 잡목을 헤치느라 무지 고생을 하였는데 내려가서 보니 능선마루에서 좌측으로 길을 찾아 내려와야 했었다.

645봉직전 안부에서 645봉에 오르지않고 좌측으로 돌아가는 묵은임도(배수로)를 따라 우회하니 훈련장이 나온다. 기동훈련중인 훈련장을 지나려니 미안하지만 어쩌랴 이미 이렇게 와버린것을 좌측능선으로 올라마루금을 이어가야 하나 훈련중이라 그럴수 없어 훈련장 도로를 따라 진행하여

바깥덕재에 도착한다. 시멘트 포장도로를 따라 이동하여 삼거리에서 우측 아스팔트 포장도로를 따라 올라가 훈련관망대 좌측의 계단을 연이어 올라가니

능선마루에 대형헬기장이 나오고, 좌측으로 방향을 틀어 봉우리와 안부를 지나 오르니

여우봉이 나온다. 좌측으로 이어가다가 넝쿨이 우거진 안부를 지나 715봉에서 좌측으로 진행하여 남쪽을 겨낭하고 내려가니

여우고개직전의 잡풀지대가 나온다. 잡풀을 헤치고 내려가

여우고개에서 산행을 마치고 이동택시(031-532-8934)불러 택시를 타고 이동으로 이동하여 직행버스를 타고 서울로 복귀한다.

 

11. 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