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북정맥 제11구간 무르티재~ 수량재

2011. 2. 16. 13:32대간 및 정맥/금북정맥·금북기맥

 

금북정맥 제11구간 무르티재 ~ 수량재(차리고개) 

 

1. 일자 : 2011. 04. 02(토요일)

 

2. 날씨 :  흐림(다소 쌀쌀한 날씨였음)

 

3. 산행인원 : 나홀로

 

4. 지도/지역

 가. 지도 : 영진 1:5만 215쪽 및 개념도

 나. 통과지역 : 충남 서산시 운산면, 음암면, 성연면, 시내지구, 인지면, 팔봉면, 당진군 정미면 

 

5. 산행구간/거리 :  무르티고개 ~수량재(차리고개)  / 22.8km

   무르티고개 - 2 - 은봉산 - 2.2 - 간대산 - 3.8 - 모과울고개 -  1.3 - 성연고개  - 2.1 - 성황당고개 - 1.6 - 도로 - 2.4 - 77번국도  - 2.5 - 솔개재 - 3 - 금강산 - 1 - 장군산 - 0.9 - 차리고개

 

6 . 산행시간 : 08시간 04분/ 무르티고개(07:45) - 은봉산(08:24) - 간대산(09:20) - 모과울고개(10:04) - 성연고개(10:31) - 성황당고개(11:39) - 내동고개(11:57) - 윗갈치(13:04) - 비룡산(14:28) - 금강산(15:04) - 차리고개(15:49)

 

7. 길찾기 주의할 곳 및 안내

 가. 내동고개에서 186봉에 올랐다가 내려서면 나오는 임도길에서 우측으로 이동하여 숲속으로 진입하여야 함(좌측으로 등산하는 사람들이 많으므로 주의)

 나. 금강산에서 조금진행 하다가 바위봉 직전에서 좌측으로 돌아 내리면 중간 중간에 좌측으로 리본을 따라야 하나 태풍에 쓰러진 나무때문에 리본이 잘 보이지 않으므로 주의하여 살펴야 함 

 

 8. 지명/유래

    가. 망일지맥 : 산행시 확인(산경표엔 없음)

 

9. 교통

  가. 갈때 : 자가용이용 무르티고개 이동

  나. 올때 : 서산에서 숙박

  1)  

 10. 산행기록

     "봄마중을 갔지만 날씨는 시샘을 하더라" 

      새벽 4시반에 일어나 준비를 하고 4시50분 영월을 떠나 38번 도로와 45번 및 34번 32번 도로를 이용하여 무르티 고개에 도착하여

 과일 노점상 뒷편에 주차후 시멘트 도로를 따라 오르니 묘지와 넓은 길이 보인다. 넓은길을 따라 올라 완만한 능선길에 접어드니

 활짝핀 생강나무 꽃이 반겨준다. 하지만 안개때문에 햇살이 없고 바람이 간간이 불어오는게 조금은 춥게 느껴진다.

 매봉재를 지나고

철탑을 지나  

 칡넝쿨과 잡목이 우거져 녹음기엔 통과하기 어려워 보이는 260고지를 지나

 오른 곳은 은봉산인데 이정표가 이상하다. 이정표를 따라 진행해도 은봉산이나 또다른 이정표가 없다.

 근데 이곳이 옛날 은봉산이란다. 여기서 부터 북진하던 마루금은 서진으로 방향을 바꾸어서 수량재까지 이어진다.

 251고지와

 201고지 를 지나

 나분들 고개에 도착한다. 도로를 횡단하여

 정자와 삼각점이 있는 양대산과

 이정표가 있는 간대산 갈림길을 지나(안개로 조망이 나빠 간대산엔 오르지 않았음)

 송전탑과

 운동기구와 지압돌이 박힌 도로를 따라 내려오니

좌측에 주차장이 우측엔 조립식 목조주택이 있는 삼거리에서

 우측으로 도로를 따라 이동하여 만나는 5번군도 4거리에서 직진하여

 버스정류소와 부흥정미소 간판이 있는 곳에서 우측 마을길을 따라 마루금을 이어간다.

 문양2길 이정표를 지나 앞에 보이는 언덕위로 산길로 접어드니

 장뇌삼 재배지 울타리가 나온다. 울타리를 따라

 오르니 송전탑이 있는 142고지이다. 좌로꺽에 내려오다가

 물탱크가 나오면 물탱크 앞으로 우회전 하여 내려오면 좌측에 송탑이 보이는 논밭길을 따라 내려오니

 649번 지방도상의 모과울 고개이다. 도로를 횡단하여 건너편에 보이는 마을길을 따르다가 

 축사를 지나고 우측 산으로 오르는 길을 따라 올라

 113.5고지 직전에서 좌측으로 돌아서 묘지우측으로 내려가면

 태풍에 쓰러진 나무들을 베어내고 정리한 곳에서

 좌측아래 건물(서산구치소)을 향해 좌회전하여 내려가 구치소 좌측 울타리를 따라 내려가니

 성연 고개이다. 좌측에 보이는 전주옆 보도를 따라 고개를 넘어가서 좌측 마을길을 따르면 되는데,

 성연 고개엔 자연 생태학교인 나비아이가 있다.

 여기서 좌측 마을길을 따른다.

 마을길을 따르다가 주황색 지붕이 보이면 좌측 전봇대 뒤 언덕으로 리본을 보고 올라서면

 마루금에 복귀하는데 오름길에 진난해 태풍 곤파스로 쓰러진 나무들이 많아 이리저리 피해서 올라서야 한다.

 능선을 따라 가다가 우측에 임도가 보이면 임도로 내려와서

 임도를 따라가(160고지를 우회하는 것임) 

 임도 삼거리에서 정면에 보이는 산길로 진입하여 오름길을 오르다가

 길가에 핀 봄꽃 사진한장 찍고 올라서니

 성왕산이다.

 성왕산 내림길에 헬기장을 지나고

 정자와 설치한지 얼마되지않는 운동시설을 지나며

 허물어져 가난 개 사육장을 지나니

 성황당 고개이다. 고개길을 횡단하여 임도를 따라 올라가

 165고지에 올라 이정표가 가리키는 전망대 방향으로 우회전 하여

 철탑을 지나

 내동고개에 내려선다. 내동고개를 횡단하여

 186고지에 올랐다가 바위가 보이는 곳으로 내려가

 양호한 산책로(임도?)가 나오면 우측으로 조금 이동하여 리본이 걸린곳에서 좌측 숲으로 들어가

 납골당을 지나고 198.5고지를 지나

 190고지에서 좌측으로 꺽어내려가는데

 여기도 태풍으로 쓰러진 나무때문에 진행이 어렵다.

 송전탑

 둘

 셋을 지나 송전탑 아래로 나아가 골프연습장을 좌로 돌아 내려가면

 77번 및 29번 도로상의 윗갈치 고개가 나온다. 횡단보도를 건너기 위해 신호등에 붙어있는 스위치를 누르고 조금 기다려 횡단하여

 갈산자원 앞길을 따라 이동하다가

 도로반사경을 이용하여 사진한장 찍고

 사격장 주차장까지 올라가

 주차장 뒤쪽에 보이는 산으로 들어가서 좌로 이중굽은 도로형태로 산길을 이어가니

 123고지가 나오고

 삼각점형태가 남아있는 169.9고지가 나온다.

 (169.9고지 삼각점)

 183고지는 태풍에 쓰러진 나무를 벌목하여 모아놓은 곳이고 이곳에서 좌측으로 꺽어서 지나는데 우측에 도로공사중이다. 좌우측으로 나뭇가지 사이로 임도가 보이길래 임도가 만나는 곳이 솔개재 일 것으로 생각하고 지나쳤는데 지나고 보니 터널을 뚧기위해 안전띠를 매어놓은 곳이 솔개재로 추정된다.

 비룡산 오르기 전에 임도가 보이고(지도엔 미표기)

 망일지맥 분기점을 지나는데, 산경표엔 망일지맥이 없다. 이곳에서 좌측으로 방향을 틀어 능선길을 이어가니

 비룡산이 나온다. 비룡산에서 우측으로 방향을 틀어 내려오는데

 정맥길인 금강산과

 팔봉산이 안개속에 뿌였게 조망되며, 태풍에 쓰러진 나무를 정리한 곳으로 능선을 따라 내려오니

 집뿌리지 이다. 좌측언덕에 가드레일이 설치된 곳으로 올라가

 근사하게 생긴 느티나무 앞에서 좌측으로 방향을 틀어 오르니

 295고지가 나오고

 이어서 삼각점이 있는

 금강산에 오르게 된다. 여기서부터 장군산까지는 내림길이며 주의를 기울여야 알바를 하지 않는다.

 능선을 따라 조금 내려가다가 바위직전에서 능선을 버리고 좌측 내림길로 내려가야하며

 내려가면서 생기는 능선길에서 또다시 양호한 능선길을 버리고 좌측으로 내려가야 한다.

 좌측으로 방향을 틀면 태풍에 쓰러진 나무를 정리하여 능선길이 훤하게 보이며 그 능선을 따라 내려가다가

 쓰러진 나무가 가로막고 있느곳을 지나자 말자

 또 능선을 버리고 좌측 사면으로 내려갔다가

 봉우리를 오르면 장군산 갈림길이 나오고 여기서 좌측으로 진행하여

 바위가 있는 200고지에서 좌측으로 꺽어서 급경사 내림길을 내려오면

 예비군 훈련장 간판이 있는 수량재이다. 이곳에서 금북정맥 1구간을 마무리 하고

지하차도를 건너 차리2리 버스 정류장에서 버스를 기다리다가 버스가 오지않아 택시를 타고 서산으로 이동하여 터미널 부근에서 숙박을 한다.

 

11. 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