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룡지맥 활성산 분기점 ~ 영암천/영산강 합수점

2017. 2. 27. 10:08호남의 지맥들/15. 백룡지맥

백룡지맥 활성산 분기점 ~ 영암천/영산강 합수점 


1. 일자 : 2017. 2. 26(일)

 

2. 날씨 : 맑음

 

3. 산행인원 : 나홀로

 

4. 이동수단



 가. 갈 때 : 승용차(전남 영암군 신북면 이천리 산 100-2번지 천동마

을 주차 신북택시 → 영암군 금정면 연소리 891-1 활성산오르는 도로 삼거리 감


 나. 올 때 : 차량회수 후 차량으로 이동하면서 태봉산, 호산 등반 후 전구간 하루에 끝냄

 

5. 지도/지역

 가. 지도 : 인터넷 지도

 나 통과지역 : 전남 영암군 영암읍, 금정면, 덕진면, 신북면, 도포면, 시종면

 

6. 산행구간/ 거리 : 분기점~ 합수점/ 31km

활성산 분기점 - 1.8 - 영운재 - 2.3 - 형제봉 - 1.3 - 백룡산 - 5.2 - 마산 - 1.8 - 13번국도 - 1.2 - 호산 - 1.4 - 천제산 - 8.7 - 태봉산 - 7.3 - 영암천

활성산 분기점~13번 국도까지 12.4km 산행 나머지 구간은 호산과 태봉산, 영암천 합수점 확인 후 종주마침 

 

7. 산행시간 : 05시간 18분 / 활성산 분기점(08:01) - 영운재(08:53) - 형제봉(09:58) - 백룡산(10:27) -  마산(12:42) - 13번국도(13:19)

 

8. 길찾기 주의할 곳 및 안내

 전반적으로 양호

 

9. 산행기록

 "73번째지맥 산행, 2017년 11번째 산행"

산행시 참고한 지도와 산행기는 '박종률님'과 '조진대님'의 산행기를 참조하였읍니다. 첨부한 지도는 '박종률님' 지도입니다. 두분께 감사드립니다.

백룡지맥 산행은 도로를 따라가는 구간이 많아 분기점에서 13번국도까지 산행을 하고 차량으로 이동하면서 호산과 태봉산 및 지맥의 마지막봉을 확인하는 것으로 계획하고 산행을 떠났다.

 어제 영암군 신북면으로 이동하여 호산과 태봉산 및 지맥의 마지막봉까지 확인하고 신북면소재 여관에서 하룻밤을 묵고 아침에 일어나 신북면소재지에서 07:30분에 영암읍으로 가는 버스를 타고(신북면 소재지에서 영암으로 가는 직행버스도 많음) 영암으로 가서 택시를 타고 활성산 분기점으로 갔다.

택시에서 내려 활성산 풍력단지를 사진에 담고

풍력발전기

4번 뒤로올라

백룡지맥 분기점에 올랐다.

안개가 많아 주변조망이 별로다. 분기점을 확인하고 들머리를 찾아보았지만 잡목이 많고 등로가 보이지 안는다. 지도와 나침반으로 방향을 잡아 내려가니 간간히 표지기가 보인다.

송전탑이 있는 삼면봉에올라 우측으로 벌목지를 따라 내려간다.

안부에 저장시설이 설치되어있고 건너편 238봉을 올라가야 하지만 생략하고 우측 도로를 따라

영운재에 도착한다.

약수터에서 물한모금 마시고

묘지쪽으로 올라가 좌측으로 대나무를 헤치면서 올라가니

양호한 등로가 나오는데, 영운재에서 좌측으로 넘어가서 양호한 등로를 따라 올라가는것이 좋다.

235.4봉을 지나

도가재에 내려선다. 백룡산을 지나 가막재까지는 이정표가 있는 양호한 등로를 따라가면 된다.

활성산 풍력단지를 사진에 담아보지만 조망이 시원찮다.

평평한 마당이 있는

260.9봉을 지나고

형제봉을 지난다.

안부 쉼터가 있는

쇠재에서

옥룡지맥 산행시 올라와야 할 동백정방향 등로를 살펴보니 등로가 양호하다.

정자가 있는

백룡산에 오르니 산불감시카메라에서 산불조심 안내멘트가 나온다. 금정. 아천 방향이 옥룡지맥 방향이다. 휴식을 취하면서 옥룡지맥 산행궁리를 해보고

좌측으로 내려서서 헬기장을 지나

옹골재와

가막재까지 간다.

가막재 내림길에 주의하여 살피니 양호한 등로 우측으로 표지기가 보인다. 그리로 들어가 잡목을 헤치고 내려서서

10여분쯤 내려가니 임도가 나온다. 다음임도 까지 등로가 험하다 하여 우측으로 임도를 따라

다음임도지점에 도착한다. 임도좌측으로난 묵은 송전탑길을 따라

송전탑을 지나고 묵은 밭을 지나

임도에 내려선다. 121.4봉도 등로가 험하다 하여 임도를 따라

산장산마을 까지 이동하여 임도 우측으로 올라가

임도삼거리에서 우측 묘지길을 따라간다. 가다가 시중 달성배씨묘지를 지나 뚜렸한 등로를 따라가면

안부가 나오고

마산 직전 조망이 트이는 곳에서 백룡산과 백룡지맥 및 옥룡지맥을 확인하고

마산을 지나 내려서니

맥길에서 약간 좌측으로 벗어난 감나무밭이 나온다. 감나무밭에서 호산과 맥길 및

신북면 소재지와 옥룡지맥길을 조망해보고 감나무밭을 내려와

천동마을을 지난다.

천동마을 입구에서 13번 국도로 나가다가 배밭을 지나

이동통신탑 아래에서 우측 저수지 쪽으로 가서 도로를 따라

내려가 13번 국도를 따라 어제 하룻밤을 묵고 차를 세워둔 리베라모텔로 가서 산행을 마무리 하고 차를 운전하여 집으로 돌아간다.

어제 확인한 호산 등로가 있는 망월사(개들이 많고 사납게 짖어댄다.)등로는 망월사 우측 개3마리가 짖어대고 있는 둔덕길이 등로이다.

호산에 올라

산불초소에서

호산 안내판과

월악산을 조망해 보고 사진을 찍었다.

태봉산에 올라 정자와

시종면의 유래를 확인하고

내려오는 길에 월출산과 영산기맥을 사진에 담고

백룡지맥의 마지막봉으로 이동하여

백룡지맥 끝지점을 사진에 담고 백룡지맥을 마무리 하였다.


10. 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