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2. 27. 10:06ㆍ호남의 지맥들/8. 봉대지맥
봉대지맥 봉대지맥 분기점 ~ 점암선착장
1. 일자 : 2017. 2. 25(토)
2. 날씨 :
3. 산행인원 : 나홀로
4. 이동수단
가. 갈 때 : 승용차(전남 무안군 무안읍 매곡리 산 128번지) → 차량으로 이동하면서 봉대산 대월산 등반 후 지도읍 지도교회로 가서 산행
나. 올 때 : 점암선착장에서 지도읍 택시타고 차량 회수 후 영암으로 이동하여 1박
5. 지도/지역
가. 지도 : 인터넷 지도
나 통과지역 : 전남 무안군 무안읍, 현경면, 해제면, 신안군 지도읍
6. 산행구간/ 거리 : 분기점 ~ 점암선착장/ 51.4km 중 지도교회부터 점암선착장까지 9.2km만 산행
7. 산행시간 : 03시간 00분 / 지도교회(10:12) - 깃대봉(11:54) - 삼암봉(12:27) - 점암선착장(13:12)
8. 길찾기 주의할 곳 및 안내
전반적으로 양호
9. 산행기록
"72번째지맥 산행, 2017년 10번째 산행"
산행시 참고한 지도와 산행기는 '박종률님'과 '조진대님'의 산행기를 참조하였읍니다. 첨부한 지도는 '박종률님' 지도입니다. 두분께 감사드립니다.
봉대지맥 산행은 도로를 따라가는 구간이 많아 분기점을 확인한 후 봉대산과 대월산을 확인하고 지도읍으로 건너가서 등로가 양호한 지도읍 침례교 지도교회앞부터 점암선착장까지만 산행을 하기로 계획하고 산행을 떠났다.
이른아침에 차를운전하여 광주광역시를 거쳐 무안군 무안읍 매곡리 산 128번지에 도착하였다.
분기점은 숲속이있는 둔덕봉이다. 둔덕봉아래 사거리에서 사진을 찍고 도로를 따라 이동한다.
현경면을 지나
봉대산과 작은봉대산이 보이는 하나로마트앞을 지난다.
봉대산까지 차가 올라가 차를타고 봉대산에 올라 정자에서
주변을 조망해보는데
안개가 끼어 조망이 시원찮다.
봉대산 등산안내도를 사진에 담고 내려와 대월산에 오르려고 했으나 조망이 시원찮아
지도읍으로 넘어간다. 점암 선착장으로 가다가 마을앞 정자에서 라면을 끓여서 아침겸 점심으로 식사를 하고
점암선착장에 가니 지도읍으로 나가는 버스가 많다. 점암선착장에서 1,300원을 주고 직행버스를 타고
지도읍 버스터미널로 나와
지도교회로 오른다. 고개좌측으로 올라가야 하며 초입에는 잡목이 많아 오름길이 고생길이다.
이내 지도읍에서 올라온 등로를 만나
양호한 등로를 따라 산행을 한다.
산불초소를 지나고
지도초등학교 갈림길을 지나
잘 정비된 등로를 따라 오른다.
오름길에 양지꽃이 보이더니 노루귀, 현호색, 산자고등이 많이 피어있다.
포토존에서 전망을 보지만
해무때문에 조망이 시원찮다.
화봉정을 지나
요상한 물건이 설치된 지점을 지난다.
산불감시카메라가 있는
꽃봉산에 오른다. 앞의 화봉정이 이곳에 있어야 하는것이 아닌가 생각해보지만 설치자의 의도는 모르겠다.
노루귀
산자고이다.
삼거리 분기점을 지나고
바람풍재를 지나
포장도로가 횡단하는
진재에 내려선다. 다시 오름길을 올라
쉼터가 있고
깃대봉 표식과
등산안내도가 있는 깃대봉에 오른다.
삼암봉에 올라
(정상표시)
바다를 조망해보지만 역시 조망은 시원찮다.
임도에 내려서서
임도를 따라 점암으로 향한다.
큰길에 내려서니
등산안내도 종점이다.
도로를 따라가다가
임자도를 건너가는 연도교 공사현장을 조망해보고
점암선착장으로 내려선다. 이곳이 24번국도(신안-울산) 기점이다.
그리고 지도읍으로 나가는 직행버스가 대기하고 있다. 이곳에서 봉대지맥종주를 마치고 차를 타고 백룡지맥 호산으로 이동한다.
10. 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