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5. 12. 08:19ㆍ낙동의 지맥들/23. 청룡지맥
청룡지맥 제1구간 유가사 도성암 - 분기점 - 봉덕교
청룡지맥(靑龍枝脈)은 ?
청룡지맥(靑龍枝脈)은 비슬지맥 비슬산(1083m) 동남쪽 어께에서 북쪽으로 분기하여 비슬산(1083m), 청룡산(794m),산성산(653m)을 지나 대구 시내를 가로 지르며두류산(125m)을 지나 와룡산(300m),궁산(251m)을 지나 금호강을 건너는 강창교앞에서 팔공지맥의 기산에서 온 황학지맥의 끝봉인 죽곡산을 바라보며 끝나는 도상거리 34.7km의 산줄기로 금호강의 우측 분수령이 된다.
1. 일자 : 2015. 5. 9(토요일)
2. 날씨 : 맑음
3. 산행인원 : 나홀로
4. 이동수단
가. 갈 때 : 승용차 → 현풍시외버스 터미널 → 현풍택시 → 유가사 도성암
나. 올 때 : 앞산 분기점 → 히치 → 대곡역 1번출구 → 600번(또는 달성5번 버스) →현풍시외버스 터미널와서 차량 회수 복귀
5. 지도/ 지역
가. 지도 : 영진 1:5만 410,411쪽 및 인터넷지도
나. 통과지역 : 대구시 달성군 유가면, 옥포면, 가창면, 화원읍, 달서구, 남구
6. 산행구간/거리 : 유가사 도성암 ~ 봉덕교 /19.8 km
유가사 도성암 - 1.5 - 비슬산 정상 - 14.9 - 앞산분기점 - 3.4 - 봉덕교
7. 산행시간 : 06시간 44분 / 도성암(06:26) - 비슬산 정상(07:45) - 앞산분기점(14:35) - 봉덕교(14:45)
8. 길찾기 주의할 곳 및 안내
전반적으로 양호
9. 산행기록
"앞산종주"
처음 산악회에 입문하여 비슬산 정상에서 산꾼들이 비슬산에서 앞산까지 종주를 한다는 얘기를 들었을 땐 언젠가 나도 그리하리라 생각했는데 오늘에서야 종주를 시작한다.
현풍 시외버스 터미널 주변에 주차 후 택시를 타고 도성암까지 가서 도성암에서 비슬산 정상으로 오른다.
비슬산 정상갈림길 삼거리에서
천왕봉으로 가서
천왕봉 안내문과
정상석을 사진에 담고
주변을 둘러보고 조화봉과 비슬지맥 능선군을 사지에 담고 되돌아와서 삼거리에서 앞산 방향으로 진행하는데, 등로가 매우 양호하다.
멋진 소나무를 지나
안부에 내려앉으니
옥포 김흥 분기점 삼거리이다.
오름길 준희님의 격려문을 지나
975봉 우횟길 삼거리에서 975봉 오름은 생략하고 좌측의 양호한 우횟길을 따라
건너가니 이정목이 있다. 이 이정목은 200m 간격으로 설치되어 길안내를 해준다.
약수터 갈림길 삼거리 안부를 지나
651봉 갈림길 삼거리에서 우츠사면으로 우회하여 진행한다.
우횟길에 나뭇가지 사이로 청룡산을 조망해 보고
안부에 내려서니 골재로
용문사 갈림길 삼거리이다.
638봉을 좌측 사면으로 우회하여 마비정 벽화마을 갈림길을 지나
마비정 갈림길 삼거리를 지난다.
673.2봉을 우측 사면으로 우회하는 우횟길에 잘 다듬어진 묘지를 지나
도원지 갈림길에서 휴식을 취한 후
안부에 내려서니
수밭고개이다. 수밭고개는 가창과 청도 각북사람들이 화원장을 보러 넘나들던 고개란다.
청룡산 오름길 데크에 오니 조망이 트여 쳥룡산이 선명하게 보인다.
배방우 직전 조망처에서 지나온 지맥길과 비슬산을 뒤돌아보고
배방우 안내판에서 배방우의 전설을 알아본다.
청룡산에서 대구시내를 조망해보고
정상석을 사진에 담고
청룡산의 유래를 살펴본 후 앞산으로 향한다.
능선길을 우측의 양호한 등로로 우회하여
양호한 등로를 따라 가는데 간간히 산객들을 만난다.
달비고개 0.5km 전에
설치된 정자에서 잠깐 자면서 쉬었다가
달비고개에서 산성산쪽으로 오름길을 올라가니
산성산 갈림길
임도가 나온다. 이곳에서 앞산방향으로 진행하여
앞산 갈림길 삼거리에서 앞산에 오르지 않고 우측 임도를 따라
앞산 순환도로 방향으로 내려가다가
대구 시내를 조망해보고 간벌한 잦나무를 톱밥으로 만드는 곳을 지나 임도를 따라 내려오는데 승용차가 내려오길래 승용차를 세워 봉덕교 까지 태워달라니 흔쾌히 태워준다. 자신은 산림청 직원으로 소나무 재선충 방재의 어려움을 얘기하고, 간벌목이 잦나무이지만 소나무 재선충 예방을위해 톱밥으로 만들어야 한단다. 산림청 직원의 도움으로 서부정류장까지 와서 서부정류장에서 현풍가는 버스를 타려고 보니 기다려야하는 시간이 길어 지하철을 타고 대곡역으로 가서 1번출구로 나가 600번 버스를 타고 현풍으로 가는데, 논공을 거쳐가니 시간이 많이걸린다. 가능하면 서부정류장의 시외버스를 타고 현풍으로 이동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생각이 든다.
10. 지도
'낙동의 지맥들 > 23. 청룡지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룡지맥 제2구간 상리공원 ~ 강창교 (0) | 2015.06.0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