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11. 10. 11:14ㆍ낙동의 지맥들/22. 비슬지맥
비슬지맥 제1구간 숲재 ~ 곡돌내재
1. 일자 : 2014. 11. 08(토요일)
2. 날씨 : 흐림
3. 산행인원 : 밝은웃음 부부, 마당, 나
4. 이동수단
가. 갈 때 : 승용차(창원 → 곱돌내재) → 대천택시(054-371-6997) → 생식마을
나. 올 때 : 곱돌내재 승용차 회수 복귀
5. 지도/ 지역
가. 비슬지맥이란?
비슬지맥(琵瑟枝脈)은?
낙동정맥 사룡산(四龍山 683m) 북쪽 400m 지점에서 분기하여 서진하며 사룡산(683m),구룡산(674.8m),발백산(674.5m),대왕산(607m),선의산(756.4m)용각산(692.5m)상원산(674.1m),삼성산(668.4m)등 6~700m대의 산들을 들어 올린후 비슬산(琵瑟山. 1083.6m)에 이르러 북쪽으로 청룡지맥을 분기한후, 방향을 남쪽으로 틀어 조화봉(1057.7m),수봉산(592.5m),묘봉산(514m)을 지나 천왕산619.2m)에 이르러 남쪽으로 열왕지맥을 분기한후 동남진하며 호암산(611.2m),화악산(930m),형제봉(556.7m),종남산(663.5m),팔봉산(391.4m),붕어등(278.8m)을 지나서 밀양시 상남면 외산리에서 낙동강에 발을 담그며 그맥을 다하는 도상거리 146.5km가 되는 산줄기로, 최고봉인 비슬산의 이름을 빌려와 비슬지맥이라 칭한다.
비슬지맥은 낙동정맥,청룡지맥과 함께 금호강의 남쪽울타리를 분담하고, 밀양강의 서쪽 울타리역활을 처음부터 끝까지 맡아와 밀양강을 낙동강에 합수시키고, 동쪽 밀양강 건너로는 낙동정맥에서 온 영축지맥의 끝을 바라보고, 남쪽 낙동강 건너로는 낙남정맥에서 온 무척지맥의끝을 바라보며 그 끝을 맺는다.
나. 1구간 지도 : 영진 1:5만 414, 390, 413쪽 및 인터넷지도
다. 1구간 통과지역 : 경북 경주시 서면, 산내면, 영천시 북안면, 청도군 운문면, 금천면, 경산시 용성면
6. 산행구간/거리 : 숲재 ~ 곱돌내재/22.8+1.5 km
숲재 - 1.5 - 비슬지맥 분기점 - 0.6 - 사룡산 - 1.9 - 오재 - 3.1 - 구룡산 - 2.7 - 질매고개 - 2.2 - 발백산 - 2.1- 494.6봉 - 2.0 - 508.4봉 - 3.2 - 용림고개 - 2.6 - 비오재 - 2.4 - 곡돌내재
7. 산행시간 : 09시간 06분 / 생식마을 입구(07:19) - 비슬지맥 분기점(07:35) - 사룡산(07:46) - 오재(08:23) - 구룡산(09:55) - 질매고개(11:10) - 발백산(12:03) - 494.6봉(13:29) - 508.4봉(14:07) - 용림고개(14:56) - 비오재(15:43) - 곡돌내재(16:25)
8. 길찾기 주의할 곳 및 안내
가. 비오재 : 포도밭 중앙의 시멘트 포장도로를 따라 올라감
나. 묘목밭지나 만나는 삼거리 : 임도따라 좌측으로 가서 만나는 이정표(곡돌내재 방향이정표 잘못됨) 뒤로 표지기따라 사면으로 건너가면 맥길 이어짐
9. 산행기록
"기을의 한복판"
호미지맥 1구간 종주때 비슬지맥을 시작한다고 하니 밝은웃음 부부님이 첫구간을 찬조출연 해주시겠단다. 고마운 일이다. 새벽 5시에 창원을 출발하여 곡돌내재로 가서 주차를 한 후 대천 택시를 타고 숲재를 지나 생식마을에 도착한다.
식물분석장 대문을 들어가
또다를 대문을 하나 통과하여 생식마을을 지나
비슬지맥 분기점에 도착하여 기념사진을 찍고 비슬지맥을 따라가면
사룡산 정상석이 나오는데 이곳에서도 기념사진을 찍는다.
541봉을 지나
낙엽이 쌓인길을 따라 내려가
바위지대를 지나니
오재가 나온다.
길건너 낙석방책에 걸린 등산로 안내판이 가리키른 방향으로 조금가면
이정표가 나오는데 이정표를 따라 구룡산 방향으로
임도를 올라가
가을의 한가운데를 걸어가면서
마일리 갈림길을 지나 호젓흔 산길을 따라 한참을 이어가면
구룡산아래 수암리 고개가 나온다.
안내판과
이정표가 설치되어있는데 이정표를 따라
포장임도를 따라 조금올라가 만나는 이정표를 따라 올라가다가
바위에서 자라는 소나무와
부처바위를
만나 사진에 담고 올라가면 무지터 갈림길이 나오는데 무지터 방문은 생략하고 직진하여 올라가니
구룡산이 나온다.
전망대에서 조망을 즐기고 휴식을 취한 후
이정표를 따라 발백산으로 향한다.
내림길에 좌측과 우측으로 내려가는 곳에서 우측으로 가면 헬기장이 나오는데 이길은 맥길이 아니다. 갈림길에서 좌측으로 내려가
구룡재를 건너가 좌측으로 진행하면
구룡산 정상석이 나오는데, 이곳을 선답자들은 경산 구룡산이라 한다.
발백산 방향으로 내려가다가
십자가상(내림길 좌측에 있음)을 지나 능선길을 오르내리다가 내려가면
구룡재에서 경산구룡산을 거치지 않고 연결되는 임도가 나온다. 임도를 따라 내려가
삼성현의 안내판이 있는 질매고개에서
길건너 이정표를 따라 가파른 오름길을 오른면
588.4봉이 나오고 다시한번 가파른 오름길을 오르면
반룡산 이정표가 있고
정상석이 있는 발백산에 다다른다. 이곳에서 점심식사를 하고
맥길을 이어가는데
급경사를 내려와 만나는 이정표가 있는곳에서 우측으로 진행해야한다. 직진하는 능선이 실하게 보여 그리로 따르면 운문호로 내려가게 된다.
임도를 만나 임도를 건너가 내려가니
개설중인 임도가 나오는데 임도가 우측으로 휘돌아가는 곳에서 직진하여 능선길을 따라 진행해야 한다.
514봉에서 우측으로 진행하여
안부로 내려서면 이정표가 나오는데 이정표가 가리키는 방향으로 진행하면
494.6봉이 나오는데
이곳에도 이정표가 있다. 이정표를 따라 가다가
송전탑을 지나
내려선 임도에서 휴식을 취한 후 이정표를 따라 진행하면
송전탑이 나온 후
508.4봉이 나온다.
477봉을 넘고
잘 정비된 묘지를 지나
만나는 임도에서 임도를 따라 내려가면
용림고개가 나오는데 맥길은 용림고개에 내리기전 우측의 축사쪽으로 가야하나 그길은 생략하고 길건너 묘지쪽으로 오르다가 묘지 좌측 삼거리에서 좌측길을 따라 올라가면
송전탑과 산불초소 중간의 능선마루로 올라서게 된다.
산불초소를 지나고
43번 송전탑을 지나
오른 봉에서 우측으로 내려가면
44번 송전탑이 나오고 임도가 나오는데 임도를 따라 내려가면
대문과 철조망이 설치된 곳에서 대문을 통과하여 농장길로 내려가면
비오재가 나온다.
바람의영토농장으로 들어가
포도밭 삼거리에서 포도밭으로 난 시멘트길을 따라올라
묘목밭을 통과하면
임도 삼거리가 나오고 길건너에 산으로 들어가는 표지기가 있는데 이곳에서 산으로 들어가지 않고 우측방향으로 임도를 따라가면
또다른 삼거리가 나온다.
우측 농장이 안닌 직진 방향으로 올라가면
이정표가 나오는데
이정표에 우측방향이 곡돌내재라고 안내를 하고 있으나 그리로 가면 안되고 이정표 뒤쪽의 표지기가 있는 곳으로 직진하면 사면을 통과한 후에 능선마루가 살아난다.
대추밭을 지나고
274.6봉을 지나
내려가다보면 길건너 마을들과 다음구간의 산군 및 우측아래 버섯재배사가 보인다.
대천고개 이정표를 따라 좌측숲으로 들어가 묘지를 지나 내려가니
대천고개가 나오는데 이곳에서 비슬지맥 제1구간 산행을 마무리 하고 창원으로 와서 저녁식사를 하고 헤어지니 2014년 가을의 한복판에서 진행한 산행이 추억이되어 기억의 저장고에 저장될 것이다.
10. 지도
'낙동의 지맥들 > 22. 비슬지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슬지맥 제6구간 천왕재~ 앞고개 (0) | 2015.06.29 |
---|---|
비슬지맥 제5구간 헐티재 ~ 비티재 (0) | 2015.06.15 |
비슬지맥 제4구간 팔조령 ~ 헐티재 (0) | 2015.02.16 |
비슬지맥 제3구간 잉어재 ~ 팔조령 (0) | 2015.01.12 |
비슬지맥 제2구간 곡돌내재 ~ 잉어재 (0) | 2014.1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