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라지맥 제1구간 분기점 ~ 성황고개

2014. 4. 5. 18:22낙동의 지맥들/19. 갈라지맥

 

갈라지맥 제1구간 분기점 ~ 성황고개

 

1. 일자 : 2014. 04. 05(토요일)

 

2. 날씨 : 맑음(꽃샘추위)

 

3. 산행인원 : 나홀로

 

4. 이동수단

 가. 갈때 : 승용차(예천 →성황고개) → 택시(현서택시를 이용하는 것이 좋음) → 솟재

 나. 올때 :  성황고개 차량회수 예천복귀

 

5. 지도/지역

 가. 갈라지맥이란?

 

 

신상경표상의 보현지맥 석심산(=39.4km지점)에서 남쪽으로 팔공지맥(120.7km)을 분기하고, 북상하던 지맥은 예재 2.1km지점에서 선암지맥(58.8km)을 남기고 다시 보현지맥 사곡령 북쪽2.9km지점에서 북쪽으로 맥을 하나 남기니.....

이 맥이 반변천 서쪽 울타리 역할을 하며 안동시 용상동에서 낙동강을 만나 그 맥을 다한다.

신상경표에서는 이를 갈라지맥이라 하고, 갈라지맥 주요 산줄기는 사곡령 북쪽 2.9km지점[솟봉]에서 분기하여-솟재-산지봉갈림길-황학산(=782.2m)-성황고개-기룡산[542.2m-1.0km]-갈라산(=567.3m)을 거쳐 반변천(우)에 이르는 42.7km의 산줄기 이다.  

 나. 지도 : 영진 1:5만 337, 311, 310쪽 및 인터넷도

 다. 통과지역 : 경북 청송군 현서면, 의성군 사곡면,옥산면, 안동시 길안면

 

6. 산행구간/거리 : 솟재  ~ 성황고개 / 23.3km

    솟재 - 1.0 - 분기점 - 1.0 - 솟재 - 4.5 - 금봉산 - 2.5 - 840봉 - 4.3 - 황학산 - 4.2 - 선방재 - 5.8 - 성황고개

 

7 . 산행시간 : 08시간 54분/솟재(06:35) - 분기점(07:16) - 솟재(07:43) - 금봉산(09:26) - 840봉(10:28) - 황학산(12:16) - 선방재(13:45) - 성황고개(15:29)  

 

8. 길찾기 주의할 곳 및 안내

 가. 분기점 : 584봉에서 좌측으로 내려가 우측사면으로 우횟길이 있는곳의 좌측봉이 분기점임

 나. 솟재 : 솟재에서 현서방향으로 내려가 L형측구가 낮아지는 곳에서 좌측능선으로 올라가 만나는 능선갈림길에서 좌측으로 올라가야 함 

 다. 개간지 임도 : 물탱크5개가 나란히 있는 곳에서 물탱크로 올라가 물탱크 우측으로 내려가야 함

 라. 선방재 내림길 : 양호한 등로를 따라 가다가 만나는 안부 우측에 벌목지가 나오면 양호한 등로와 헤어져 우측앞의 소나무숲 봉우리로 올라가야 함 

    

 9. 산행기록

     "낙엽이 많고, 급경사지 오르내림이 심함"

 새벽4시에 일어나 산행준비를 한 후 차량으로 이동하여 성황고개에 도착하여 길안택시 기사에게 전화를 하고 산행채비를 하고있는데 이내 택시가 도착한다. 옥산면 소재지에서 좌측금봉산 휴양림방향으로 가라고 일렀는데 우측 의성 사곡면 방향으로 가서 한참을 헤멘 후 솟재에 도착한다. 택시비를 물어보니 5만원을 달란다. 3만원정도면 될 것인데... 싸우기 싫어 그냥 지불하고 산행을 시작한다. 현서에서 솟재구간의 도로 확장공사가 마무리 되어가고 차량통행이 가능하니  현서택시를 이용하는 것이 길을 잘못들 염려도 없을 뿐 아니라 택시요금도 싸서 좋을것이다.

공사중인 솟재에서 우측 절개지 위로 올라가

930번 지방도로와

현서면 일대의 운해를 조망해 보고

갈라지맥 분기점에서 갈라지맥 종주를 시작한다.

584봉을 지나

솟재에 내려와

L형측구가 낮아지는 곳에서 능선길로 접어들어 한참을 올라가 만나는 능선갈림길에서

좌측으로 올라가 지맥길에 복귀하니 돌탑봉이 나온다. 양호한 등로를 따라 길게 이어가

만나는 610봉은 좌측사면으로 우회하여 통과한 후

송전탑을 세우기위해 만들어 놓은 임도를 따라

송전탑까지 진행한다. 임도와 헤어져 오르내림을 반복하다가 긴 오름을 오르니

767봉이 나온다.

808봉 헬기장을 지나

헬기장이 있는

금봉산에서 우측으로 진행하는데

목판에 시를 써서 나무에 매달아 놓은 시판이 등로 중간중간에 나타난다.

다시 헬기장을 만나 

헬기장우측 이정표를 따라  좌측 급경사길을 내려가 한참을 진행하면

물랭이골 안부가 나온다. 가파른 오름길을 올라

금학산 분기점에서 좌측으로 진행한 후

의방이골 안부를 횡단하여 올라가면 묵묘가 나오는데 그곳에서부터 840봉까지는 코가 땅에 닿을것처럼 깍아지른 급경사길을 올라야 한다.

가파른 숨을 몰아쉬며, 한손엔 스틱을 한손엔 나뭇가지를 잡으며 올라가니 정상에 묘지가 있는

840봉이 나온다. 이곳에서 우측으로 꺽어 진행하다가 묵묘를 지나 급경사길을 내려갔다가 다시 급경사길을 올라가면

돌탑이있는 724봉이 나온다. 긴 내림길을 내려가다가

작은 봉우리에 오른 후 다시 긴 내림길을 내려간 후 좌측으로 꺽어 내려가면

안부가 나온다. 안부에서 급경사길을 올라가면

개간지 임도가 나오는데, 우측으로 조금 가면

물탱크5개가 나오는데 5번째 물탱크 바로 뒤쪽으로 올라가 우측방향으로 급경사길을 내려가야 하는데 급경사길에 낙엽이 수북히 쌓여 주의하면서 내려가야 한다.

안부에서 다시 길고 급한 오름길을 올라야 하는데 가파른 오름길에 낙엽까지 수북히 쌓여있으니 여간 힘이드는 것이 아니다.

황학산 정상직전에서 황학산에 오르지 않고 좌측으로 낙엽길을 내려가 개간지 울타리를 넘어 키를 넘는 잡초를 헤치고 길을 만들어 가면서 

우측아래에 보이는 개간지 임도로 내려간다.

바람이 심하여 바람을 피할 수 있는 곳에서 점심을 먹기위해 자리를 잡고 뒤돌아 황학산을 바라보니 잡초가 심한 녹음기에는 황학산으로 올라가 우측으로 더 진행하여 만나는 개간지 임도를 따라 내려오는 것이 좋을것 같다.

포장임도가 끝난 후 비포장 임도를 따르다가 만나는 임도 삼거리에서 좌측으로 진행하여

개간지 끝단에서 앞에보이는 산으로 오르지 않고 좌측 사면으로 난 양호한 등로를 따라 지맥길을 이어가는데, 황학산까지 급경사길을 오르내리면서 뭉쳐진 다리근육을 풀어주기에는 안성맞춤이다.

사면길이 위험한 곳에는 로프와 경고판을 설치해두었다.

약초재배지 철조망 지대를 지나

안부로 내려가니 우측으로 벌목을 한 곳이 나오는데 앞에보이는 소나무숲 봉우리를 올라

봉우리 위에서 우측으로 꺽어 선방재로 내려간다.

선방재에는 성황당 흔적이 있고, 선방재 안내판이 나무에 걸려있다.

선방재를 건너 길고 급한경사를 올라 435.8봉의 삼각점을 지난 후

490봉은 우측사면으로 우회하여 통과한다.

494봉을 지나

MTB안내판이 있는 곳에서 좌측으로 내려간다.

472.7봉 갈림봉에서 북서방향으로 내려가다가 묵묘2기를 지나서 내려가면

사과 과수원이 나오는데 과수원 중앙의 포장된 농로를 따라 창고를 지나

농로가 좌로 꺽어지고 우측에 전신주가 있는 곳에서 전신주쪽 숲으로 들어가 숲길을 따르다가

361봉을 지나 내려가는데

사과밭이 나온다. 맥길은 사과밭으로 들어가 사과밭을 따라 우측으로 가서 우측에 보이는 봉우리에 올라간 후 좌측으로 내려가야 성황재가 나오지만 좌측앞에보이는 포장농로를 따라 내려가면

농로가 914번 지방도와 만나고 도로를 따라 조금 올라가면

안동시 길안면과

의성군 옥산면의 면계표주가있는 성황재가 나온다. 이곳에서 산행을 마무리하고 승용차를 회수 예천집으로 복귀하니 갈라지맥 제1구간이 마무리 된다.

 

10. 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