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북기맥 제1구간 백월산 ~ 지티고개

2012. 8. 27. 09:29대간 및 정맥/금북정맥·금북기맥

 

금북기맥 제1구간 백월산 ~ 지티고개

 

1. 일자 : 2012. 08. 25(토요일)

 

2. 날씨 :  흐림

 

3. 산행인원 : 나홀로

 

4. 지도/지역

 가. 지도 : 영진 1:5만 294, 295, 320쪽 및 인터넷지도

 나. 통과지역 : 충남 청양군, 남양면, 보령시 청라면, 부여군 외산면, 은산면, 내산면

 

5. 산행구간/거리 :  백월산 ~ 지티고개(접근거리 제외)   / 19.5km

    백월산 - 2.8 - 성태산 - 2.5 - 반고개 - 2.5 - 조공산 - 4.9 - 새재고개 - 3.5 - 월하산 - 3.3 - 지티고개

 

6 . 산행시간 : 09시간 27분/  백월산(05:51) - 성태산(07:06) - 반고개(08:11) - 조공산(09:37) - 새재고개(11:40) - 월하산(13:27) - 지티고개(15:18)

 

7. 길찾기 주의할 곳 및 안내

    전반적으로 양호함

 

 8. 지맥

    성주지맥(聖住枝脈)

    백월산에서 장항 앞 바다 금강으로 벋어 내리는 금북기맥 성태산(624m)에서 가지를 쳐 문봉산(633m) , △성주산(677m) , △ 옥마산(596.9m) , 봉화산(323m) , △ 잔미산(417m) ,통달산(184m) 을 거처 보령시 웅천읍 서해바다에서 맥을 다하는 웅천천 서북쪽 분수령 분수령을 성주지맥이라 한다.

   

9. 교통

  가. 갈때 : 자가용이용 청양군 남양면 백금리 백금저수지 제방옆에 주차 후 산행시작

  나. 올때 : 외산택시로 백금저수지까지 이동

   

10. 산행기록

      "임도, 밤나무단지, 잡목지대 산행"

    새벽2시반에 일어나 청양IC를 지나 백금저수지 제방 우측에 도착하여 주차를 한 후 월지를 향해 임도를 따라 오른다.

월치에 베낭을 벗어놓고 

백월산에 올라 정상을 확인하고  

성태산 방향으로 되돌아 내려오다가 

금북기맥 갈림길에서 직진하여 내려오면 

임도공사중인 월치에 도착한다. 베낭을 회수하여  

임도건너 성태산 방향으로 오르면 

성주지맥 분기점인 성태산 천세봉이 나온다.  

이정표방향이 없는 좌측으로 진행하면  

행여봉직전의 안부이며 안부를 횡단하여 오르면 

행여봉이다. 우측으로 진행하여  

이정표를 만나 옥가실 방향으로 진행하며 

임도를 건너 진행하다가

만나는 이정표에서 반고개 방향으로 진행한다.

반고개 직전 폐도에서 좌측으로 내려가야 하며, 임도를 직진하면 절개지 상단으로 잡목으로 진행이 어렵다.  

폐도를 따라 내려와 우측 고갯마루로 올라가 도로건너 좌측의로난 임도를따라 밤나무밭위에 있는 이동통신탑을 보고 진행하면 마루금을 이어갈 수 있다. 

잡풀에 이미 신발이 젖어있지만 그래도 덜 젖기위해 군계표지판아랫쪽 식당을 지나 우측으로 올라가는 도로를따라 오르다가

밤나무밭위의 이동통신탑은 사진에만 담고 

3층목조건물 뒷쪽의 고갯마루로 향한다.  

도로 고갯마루에서 좌측의 숲으로 들어가  

241봉에서 우측으로 꺽어진행하면

임도를 만나고 이어 임도삼거리가 나오는데, 우측으로 진행해야 한다.  

묘목밭을 지나 내려오면 

구루고개이다. 고갯마루 좌측임도를 따라 오르면 

임도4거리가 나오고 임도사거리에서 직진이다.  

임도를 따르다가 임도와 헤어져 우측 숲으로 들어가 잡목을 헤치고 급경사를 오르면

묘지가 있는  

조공산 갈림봉이다. 우측 내림길을 내려가다가 

구신이재를 지나고  

405봉에서 좌측으로 꺽어내려간다. 

임도3거리인 마등재에서 직진하는 임도를따라 진행하며 

임도를따르다가 만나는 콘크리트 포장임도 직전에서 리본을 보고 좌측 숲으로 들어가 오르면 

밤나무밭이 나온다. 밤나무밭 임도를 따라 계속 진행하면 밤나무 밭이 끝나고 이어

송전탑이 나온다.  

320봉을 지나고 

326봉에 올라 

뒤쪽 산불감시카메라를 확인하고 되돌아 나와

진행방향에서 우측 임도로 진행한다.

조립식 농막을 지나 내려오면

임도삼거리가 나오는데

대은도로이다. 새재고개는 앞에보이는 봉우리에서 축융봉을 향해 내려가는곳이라고 하는데 봉우리를 오르지 않고 우측아래

포장임도로 바로내려간다. 포장임도를 횡단하여 잡목 사이로 진행하다가

송전탑을 지나고 곧바로

임도로 내려가며 좌측방향으로 임도를 따르다가

강우량 측정기 있는 곳에서 다시 숲으로 들어간다.

삼각점이 있는

290.6봉을 지나고

파묘건너 임도를 따라가면

우측에서 올라오는 임도와 합류한다. 임도를 따라 계속진행하여

밤나무밭이 있는 임도마루에서 

우측 벌목지대로 들어간다. 

벌목지 소나무가 서 있는 326봉에서 좌측으로 꺽어내려가면

서낭당 흔적이 있는 거칠고개를 만난다. 거칠고개를 횡단하여 긴 오름을 오르면

월하산이다. 되돌아나와

월하산 갈림길에서 우측방향으로 리본을 보고 진행하며 봉우리 몇개를 오르내리면

383봉이다.

 내림길에서 만나는 능선복부를 향한 우측내림길을 따라 진행하고

또다시 만나는 갈림길에서도 우측 산복을 향해 내려가야 한다.

305봉 삼각점을 지나고 흐릿한 산길을 찾아 밤나무밭을 통해 내려오면 안부가 나오는데 안부직전에

가옥이 있다. 가옥건너 밤나무밭으로 다시 들어가 밤나무밭을 통과하여 마지막 산마루에 올라서면 자동차 소리가 들리며 밤나무밭 사잇길을 따라 내려오면

40번 국도상의 지티고개이다. 산행들머리는 이동통신탑이 있는곳으로 희미한 등로를 따라 올라가야 하며

우측 의성동산 을지나 버스정류소에서 산행을 종료하고 외산 택시를 호출하여 백금저수지로 이동하여 야영을 한다.

 

11. 지도

 가. 전체지도

 

  나. 상세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