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남정맥 제6구간 윗장고개 ~ 진고개

2012. 8. 20. 12:27대간 및 정맥/금남정맥·금강기맥

 

금남정맥 제6구간 윗(중)장고개 ~ 진고개 

 

1. 일자 : 2012. 08. 18(토요일)

 

2. 날씨 :  맑음(후덥지근하고 가끔 소낙비가 내리는 날씨)

 

3. 산행인원 : 나홀로

 

4. 지도/지역

 가. 지도 : 영진 1:5만 297, 298쪽 및 개념도

 나. 통과지역 : 충남 공주시 계룡면, 이인면, 탄천면

 

5. 산행구간/거리 :  윗(중)장고개 ~ 진고개   / 14.4km

    윗장고개 - 0.6 - 팔재산 - 1.2 - 널티 - 5.6 - 성항산 - 3.0 - 697번 지방도 - 4.0 - 진고개

 

6 . 산행시간 : 08시간 14분/  윗(중)장고개(05:00) - 팔재산(05:23) - 널티(06:16) - 성항산(09:41) - 697번지방도(복룡고개 ; 11:17) - 진고개(13:14)

 

7. 길찾기 주의할 곳 및 안내

 가. 전반적으로 양호함

 나. 대부분의 종주자가 하는 알바지역 : 개념도의 199봉 지전에 우측의 희미한 등로를 찾아들어가 우측으로 바로꺽어내려오면 묘지군과 콘크리트 도로가 나오며, 도로를따라 내려오면 과수원으로 이길이 원정맥길임

 

 8. 지맥

    노성지맥 (魯城枝脈)

금남정맥 성정산((성항산.237.1m)동쪽 약 1.5km지점의 표고 약 140m되는곳에서 남진하며 반송고개, 개코빽이산(195.4m), 수실고개,175.1m삼각점봉, 밀머리고개, 구야고개256m를 지나 노성산(魯城山.348.1m)에 오른후 봉우재산(205m)를 지나 쇠지기(645번도로 항공학교후문)에 내려선다. 여기서 부터는 산다운 산은없고 어디가 맥인지도 모르게 얕은 구릉지로 대부산분 도로가 맥이되어 소곡저수지앞, 등등골 도로(항공학교입구), 23번 4차선 국도, 69m봉, 두사리 두사교회, 광석면입구 사거리, 광석면사무소앞, 갑산리, 서논산JC 높은점고개, 고속도로 원남교, 성동면사무소뒤, 월성리 뒷능선, 51m, 상리, 75.9m, 장판고개, 불암산(59m), 논산시 성동면 개척리 합수점으로 이어지는 도상거리 약 32km의 산줄기를 말한다.

논산천의 좌측 분수령이 되며 지맥의 절반정도는 산이고 절반정도는 도로를 따라간다.

필요한 지도는 1/25000 : 탄천.월암.논산.석성. 1/50000 ; 공주.논산. 한산.

영진 1/50000 : 297쪽 공주.323쪽 논산.322쪽 부여.

 

9. 교통

  가. 갈때 : 자가용이용 중장고개 주차

  나. 올때 : 탄천택시이용(011 - 425 - 1321) 차량회수(서늘한 날씨이면 택시로 탄천으로 이동하여 공주행 시외버스(직행버스가 수시로 있음)를 타고 공주에서 중장3거리로 시내버스를 타고가 차량을 회수하려고 하였음) 야영

   

10

 

. 산행기록

      " 밤나무단지, 잡목지대를 후덥지근한 날씨에 소낙비와함께"

    새벽3시에 집을나서 중장고개에 도착하여 주차할 곳을 찾는데 봉고차 한대가 주차하여 있다. 혹시 종주꾼의 차량이 아닐까 생각했는데 산행도중 그들을 만났다. 길가 공터에 주차를 하고 산행준비를 하여

미당가든 안내판 뒤로 조금이동하여

들머리를 찾아 가파르게 오르니

삼각점과 돌탑이 있는

팔재산이다. 고도를 낮추며 밤나무농장과 묘지주변의 리본을 따라 이리저리 헤치고 내려오니

농로가 나온다. 좌측으로 이동하여

23번국도 하부를 통과하여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국제자원을 지나

전봇대가 있는 곳(널티고개)으로 오른다.

오름길을 올라 만나는 삼거리에서 좌측으로 진행하며 개념도의 215봉은 봉우리 직전에서 우측으로 꺽어 우회하고

203봉에서 좌측으로 진행한다.

내림길 막바지 안부의 임도를 건너

밤나무 밭으로 들어가

우측방향의 임도를 따르다가

고갯마루에서

우측 밤나무 밭으로 진행하면

상리임도가 나온다. 도로건너 들깨밭을 지나니

우측으로 오르는 농로가 나오며, 도로를따라 올라 한차례 가파른 오름을 오르니

안골산이다. 좌측으로 꺽어진행하여

거목바위산 갈림길에서 우측으로 진행한다.

벌목지대 잡목사이를 뚧고 진행하니

이동통신탑이 나오고

묘지를 지나 내려오니 최근에 포장을 한 임도가 나온다. 지도를 따라 묘지를 거쳐 잡목을 헤치고 내려오니

17번 군도가 나오는데, 포장임도가 여기까지 닿아있다. 그렇다면 임도를 따라 내려와도 되니 우천시 이용할 만 하다. 도로를 건너 한참을 오르니 사람소리가 난다. 혹시 종주꾼일까 생각했는데, 중장고개에 주차를 해둔 종주꾼들이었다. 반갑게 인사를 나누고

기념사진도 한장 찍어주는 호의를 받으며

성항산의 유래를 살펴본다.

다시 밤나무 단지를 만나 좌측으로 진행하다가

개념도의 199봉 직전에 우측에 리본이 보이고 희미한 등로가 보여 혹여 이길이 아닐까 하고 들어가니 건너편에 우측아래로 향하는 능선이 뚜렷하게 보여서 그리로 건너가 내려가니 막바지에 계곡이 나온다. 그렇다면 우측으로 진입하여 건너편 능선으로가지 말고 우측의 희미한 능선을 꺽어내려갔다면 계곡을 건너지 않고

묘지군(거기까지 콘크리트 포장이 되어있음)을 지나 과수원으로 내려오는 맥길을 따라 내려올 수 있었다. 물론 알바길에 리본이 많이 걸려있었고, 오늘만난 종주꾼들도 그길을 따라 진행하였다.

과수원앞 반송고개 도로를 횡단하여 밤나무 밭을 지나 오름길을 올라 완만하지만 밤나무와 잡목지대를 지나

철조망도 따르다가

만나는 삼거리에서 우측 숲속의 리본이 있는 곳을 지나 내려오다가

밤나무밭 안부의 임도를 횡단하여 올라 언덕배기에서 우측으로 꺽어 내려오니

이동통신탑이 나온다. 이동통신탑을 지나 우측으로 내려오니

697번 지방도가 지나가는 복룡고개이며 우측으로 진행하여

호남고속도로 교량하부의 도로반사경 사이로 올라 절개지를 가파르게 오르니

송전탑이 나온다. 뙤약볕과 소나기를 번갈아 만나면서 잡목을 헤치고 진행하니

숲길이 나온다. 

개념도의 180봉에서는 좌측으로 꺽어진행하며 완만한 마루금을 간간히 불어주는 바람에 땀을 식히면서 맥길을 이어가다가

지도상에 표기된 망덕봉은 우측사면으로 우회하고, 전기울타리도 지나며

묘목밭과 임도와 밤나무 밭을 지나

망덕봉 안내판이 있는곳도지나(지도상위치와 다름) 내려오니

645번 지방도가 지나가는 진고개이다.

광명리 안내석이 있는곳에서 오늘의 종주를 마무리하고 택시를 불러 중장고개로 향한다.

 

11. 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