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남의 지맥들/1. 성치지맥

성치지맥 제1구간 용덕재 ~ 분기점

홍승우 2019. 5. 7. 09:45

성치지맥 제1구간 광대정 ~ 용덕재 ~ 분기점 ~ 무릉리 어자장류장

 

1. 일자 : 2019. 05. 06(월)

 

2. 날씨 : 맑음, 산행하기 좋은 날씨

 

3. 산행인원 : 나홀로

 

4. 이동수단


가. 갈 때 : 금산 → 06:20 광대정행 군내버스 → 광대정 → 용덕재
나. 올때 : 무릉리 어자정류장에서 14:30분 군내버스 → 주천면소재지 → 주천택시 → 금산 → 시외버스 → 대전역가서 기차타고 복귀


5. 지도/지역

 가. 지도 : 인터넷 지도와 오룩스맵

 나 통과지역 : 충남 금산군과 전북 진안군 일원

 

6. 산행구간/ 거리/시간 : 광대정 버스승강장 ~ 무릉리 버스승강장  15.78km(오룩스맵 기준) / 07시간 09분


7. 산행기록


"98번째 지맥 시작"

 금산웰빙24시 찜질방에서 3일째 잠을 잔 후 찜질방 앞 식당에서 새벽밥을 먹고 광대정행 버스를 타기위해 하옥리 버스 승강장으로 이동하여 06:20분에 출발하는 버스를타고 광대정에 도착하여 성치지맥 마지막구간 산행을 시작한다.

광대정 버스승강장에 나를 내려준 버스는 금새 되돌아 나가고 나는 도로를 따라

용덕재까지 올라가 고개넘어

운일암 반일암 안내판 우측의 임도를 따라 올라가

감자를 심어놓은 밭에서 그물망을 넘어 산으로 들어가

457봉과

549봉을 지나

488봉에서 되돌아 내려와 우측으로 표지기를 따라 희미한 등로를 찾아 내려가면 뚜렷한 등로가 나온다.

성황당 안부를 지나 급경사 오름길을 오른 500봉에서 우측방향으로 조금나아가 좌측으로 틀면 내림길의 등로가 보인다. 급경사를 내렸다가 암릉을 타고

다시오른 597봉이

더기산이다. 더기산을 지나 칼날능선을 타고가다가

오른 암봉에서

성치지맥 분기봉과

금남정맥 및 대둔산을 조망해 본다.

내림길의 급경사 바위봉을 지나 오른봉에서  

좌측으로 운장산을 조망해보고

585봉에 도착하니 이곳도 더기산이란다. 잠시 내렸다가 607봉을 우측으로 우회하고

선봉도 좌측사면으로 우회하여 평평한 등로를 따라 가는데 좌측으로 무릉리 어자마을이 보인다.

물탱크를 설치하고 개설한 임도를 따라

좌측으로 조금 내려와 어자마을을 사진에 담고

임도를 따라 내려서니

임도는 좌측으로 내려가고

맥길은 철조망이 설치되어 있다. 철조망을 위로 통과할 수 없어 아래로 통과하는데, 철망에 옷이 걸린다. 여기가 오두재라고 생각했는데,

철조망을 넘어간 곳에 성황당이 있는 곳이

오두재이다. 철조망을 넘지말고 좌측으로 임도를 따라 조금 내려갔다가 우측 오두재로 오르는게 나을듯 싶다.

무릉재에 도착하여 묘지길을 따라올라 묘지뒤 의자에 베낭을 벗어놓고 분기점으로 향하는데, 오름길 중간에 산죽밭을 통과해야 하는데, 키를 넘는 산죽이 먼지를 풍기면서 진행을 방해한다.

산죽밭을 지나 급경사길을 힘겹게 오르니

금남정맥의 성치지맥 분기봉이 나온다. 금남정맥을 가늠해보고 되돌아 내려와

묘지뒤 의자에 벗어놓은 베낭을 회수해서

무릉재에서 우측으로 내려가

집을 가로질러 내려가 무릉소류질에서 땀을 닦고

어자정류장으로 가서 40여분을 기다리니 군내버스가 온다. 버스에 승차하여 나가니 운일암 반일암 삼거리에서 우측 내처사로 버스가 간다. 진안에서 15:45분에 출발하는 부산행 버스를 탈수 있을까 고민하는데, 내처사에서 15시에 출발하여 주천면 소재지에 도착하니 15:50분에 출발하여 용덕에가서 회차하여 돌아올테니 버스에서 내려서 기다리란다. 버스에 내려서 집으로 복귀할 궁리를 하는데, 대전역에서 기차를 타는 것이  가장 좋을것으로 판단된다. 주천택시를 타고 금산으로 가서 금산에서 직행버스를 타고 대전으로 간 후 대전역으로 이동하여 기차를 타고 창원을 거쳐 집으로 복귀하였다.


8. 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