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의 지맥들/33. 용천 북지맥

용천 북 지맥 제1구간 1분기점 ~ 오양고개

홍승우 2017. 1. 1. 04:53

용천 북 지맥 제1구간 1분기점 ~ 오양고개

 

1. 일자 : 2016. 12. 31(토요일)

 

2. 날씨 : 맑음(포근한 날씨)

 

3. 산행인원 : 나홀로

 

4. 이동수단

 가. 갈 때 : 집 → 승용차 → 노포동 → 시내버스 → 정관(택시) → 해운대CC

 나. 올 때 :  오양고개 → 도보이동(중대마을) → 시내버스 → 노포동 → 차량회수 복귀

 

5. 지도/지역

 가. 지도 : 인터넷 지도

 나 통과지역 : 경남 양산시, 부산시 정관읍, 장안읍, 울산시 울주구 웅촌면, 온양읍

 

6. 산행구간/ 거리 : 분기점 ~ 오양고개 /16km 

  

7. 산행시간 : 06시간 39분 / 해운대CC(08:34) - 대운산(11:20) - 내광고개(13:16) - 오양고개(14:45) - 중대마을 버스승강장(15:13)


8. 길찾기 주의할 곳 및 안내

 가. 전반적으로 양호함

 

9. 산행기록

 "67번째 지맥 첫번째 산행, 낙동정맥의 마지막 지맥 산행(33지맥)"

용천북 지맥 종주를 계획하면서 들머리를 어디로 잡을 것인가 고민하다가 해운대CC로 결정하였다. 이유는 용천 북 지맥 분기봉인 488.7봉을 통과하면 동부산 컨트리 클럽을 통과하여야 하므로 이를 피할 수 있는 방법을 찾은 것이 해운대 CC 클럽하우스를 지나 보수동 모래더미 뒤로 올라 등로를 따라 가서 맥길에 복귀하는 길이 있어 그렇게 결정하였다.

새벽에 일어나 느즈막히 노포동에 도착하여

37번 버스를 타고 정관으로 가서 정관에서 택시를 타고

해운대CC 클럽하우스를 지나 보수동 옆 모래를 쌓아 놓은 곳 까지 와서

뒤돌아 보며 해운대CC 클럽하우스를 사진에 담고 산으로 들어가 조금 오르니 임도가 나와 임도를 따라 올라가 해운대CC를 우측으로 우회하는 등산로로 올라선다. 등산로는 잘 발달되어 있다.

한시간여를 진행하여 등산로 변경 안내판이 있는 곳 에 도달하였는데, 여기서부터 맥길에 들어서는 것이다.

안내판 옆 등로 삼거리에서 앞의 바위봉을 우측으로 우회하였는데, 바위봉이 투구봉이다.

631봉을 지나

이정표를 따라 불광산 방향으로 진행한다.

장안사 갈림길을 지나고

시명산을 지나

올라선 봉오리에서 불광산 방향으로 진행하다가

불광산 직전 안부에서 이정표를 따라 불광산을 좌측능선으로 우회한다.

대운산에 올라

안내판을 읽어보고 주변을 조망 하며

갈길을 살펴 본 후 휴식을 취하면서 김밥으로 요기를 한다. 잠시 쉬었다가 직진길이 아닌 좌측 방향의 제 2봉쪽으로 내려가

헬기장에서

대운산 2봉 방향인 우측으로 내려가

제3공영주차장 갈림길을 지나

데크를 따라 오르면

철쭉 군락지 안내판이 나오고

상대봉 이정표가 보이는데, 상대봉 방향으로

철쭉제 행사 안내석옆 데크를 지나 오르면

정상석이 나온다. 정상석 뒷쪽으로 진행하여

능성구씨 묘지에서 좌측길로 내려간다(우측길은 약수터 가는길)

40분여를 내려오니 대운산 휴양림 임도가 나온다. 임도를 건너 산길로 들거나 임도를 따라 가면 내광고개가 나오는데, 임도를 따라

내광고개에 도착한다. 내광고개는 양산시와

울산 온양읍의 경계이며, 고개넘어

L형측구가 끝나는 곳 뒤쪽으로 양호한 등로가 있다. 그길을 따라 올라

송전탑을 지나고

배읍봉에 올랐다가 뒤돌아 내려 오면서 좌측으로 진행하면 양호한 등로가 이어진다.

또다른 송전탑을 만나 따사한 겨울 햇살을 쬐면서 휴식과 요기를 하고, 편안한 등로를 따라가다가 묘지길을 만나 그길을 따라 좌측으로 내려가면

오양고개가 나온다.

오양고개의 다음 들머리를 확인하고 도로를 따라

중대마을 버스승강장으로 이동하여 1137번 버스를 타고 노포동으로 가서 차량을 회수 집으로 복귀하였고, 금년도에는 지맥 산행을 41회 실시 하였다.


10. 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