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대간의 지맥들/37. 수도지맥

수도지맥 제1구간 소사고개 ~ 분기점 ~ 우두령

홍승우 2015. 1. 23. 13:27

수도지맥 제1구간 소사고개 ~ 분기점 ~ 우두령

수도지맥은?
백두대간이 전북 무주군과 경북 김천군과 경남 거창군등 삼도가 만나는 대덕산(大德山 1,290.9m) 남쪽의  삼도봉(일명 초점산.1250m)에서 남쪽으로  300여m 떨어진  지점에서 시작하여 남동쪽으로 가지를 쳐 내려가며 경상남,북 도계를 따라 봉산(902m),수도산(1317m),단지봉(1,326.7m),좌일곡령(1257.6m)을 지나  가야산을 목전에 두고 두리봉(1133m)에서 도계를 벗어나 남쪽으로 거창군과 합천군경계를 따라 남산(1113m),마령(1006.5m),우두산(의상봉.1046.2m),비계산(1130m),88고속도로,두무산(1038.4m),오도산(1120m)1000m이상의 장쾌한 능선이 60여km 이어진다.
오도산에서 거창군과는 작별을하고 온전한 합천땅으로 들어서며 고도를 낮춰 토곡산(644m)를 지나면 다시 경상남,북도계를 만나 고령군과 합천군계를 따라 만대산(688m),시리봉(408m)을 지나 솜등산(271m)에 올라선 도계능선과는 작별을하고 마지막 여력으로 필봉(330m), 부수봉(317m),성산(205.7m)을 내려서며 맥을 다한다.

 수도지맥 동북쪽으로 흐르는 감천(甘川)은 길이 69km,유역면적 1.0만 ㎢로 수도산북쪽에서 발원하여 김천시의 지명을 낳게하고 김천시일대를 지나 구미시 선산읍 원리에서 낙동강으로 흘러들고 수도지맥 동쪽내지 동남쪽으로 흐르는 회천(會川) 길이 78km,유역면적 78000㎢로  수도산 동쪽기슭에서 발원하여 대가천(大伽川)을 이루어 성주호에 들었다가다시 동으로 흘러 고령읍에서 소가천(小伽川), 안림천(安林川과 합류하고 고령군 덕곡면 율지나루에서 낙동강에 흘러든다.

 수도지맥 서쪽으로 흐르는 황강(黃江)은 길이 111km,유역면적 13만 ㎢로  남덕유산(1507m)동쪽 계곡에서 발원하여동남쪽으로 흘러 합천호(陜川湖)에 들었다가 합천군 청덕면 적포리 일대에서 낙동강에 흘러들며 맥을 다한다. 수도지맥은 도상거리 105.8km이다.

 

1. 일자 : 2015. 7. 4(토요일)

2. 날씨 : 맑음(조망좋음)

3. 산행인원 : 나홀로

4. 이동수단

가. 갈 때 : 승용차 → 우두령→ 웅양택시→  소사고개

나. 올 때 : 소사고개 승용차 회수 김천으로 이동

5. 지도/ 지역

나. 지도 : 영진 1:5만 536쪽 및 인터넷지도

다. 통과지역 : 경북 김천시 대덕면, 경남 거창군 고제면, 웅양면

6. 산행구간/거리 : 소사고개 ~ 분기점 - 우두령/ 17. 62km

    소사고개 - 3.01 - 분기점 - 3.64 - 877.2봉 - 3.24 - 국사봉 - 3.19 - 베티고개 - 2.83 - 봉산 - 1.31 - 우두령

7. 산행시간 : 07시간 51분 / 소사고개(06:55) - 분기점(07:35) - 877.2봉(08:53) - 국사봉(10:30) - 베티고개(12:09) - 봉산(14:11) - 우두령(14:46)

8. 길찾기 주의할 곳 및 안내

이정표가 설치되어있어 길찾기 양호

9. 산행기록

"조망양호, 벌목구간은 잡목으로 진행이 힘듬"

이번주 휴일에는 근무를 해야하나 망설였는데, 근무를 하지 않아도 된다. 그래서 1박2일 산행을 하기로 하고 산행준비를 하여 어둠이 채 가시기도 전에 포항을 출발하여 우두령으로 가서 주차를 하고 택시를 불러 백두대간 소사고개를 지나 지경마을로 들어가

임도삼거리에서 하차하여 우측으로 올라가니

비닐하우스와 농장이 나오고 농장을 돌아가니

백두대간 등산로가 나온다.

대간길을따라 올라가다가 조망이 트이는 곳에서 뒤돌아보니 백두대간 산줄기와 덕유산이 보인다.

좀더 올라간 조망처에서는 더욱 선명하게 보이며

수도지맥 갈림길에 이정표가 설치되어있고

준희님의 수도지맥 분기점을 알리는 표지판이 설치되어있다.

내림길에 가야할 수도지맥과 고냉지 채소밭을 사진에 담고 

수도산과 양각산 및 양각지맥등도 조망해보고 급경사길을 내려와

고냉지 채소밭에 닿는다. 농부가 밭을 개간하고 있는 중인곳을 횡단하여 밭둑으로 붙어서 내려오니

농로가 나오고

농로를 따라 끝까지 가서 산으로 들어가니 숲길이 능선좌측으로 나있어 그길은 등로가 아닌것같아 위쪽으로 올라가니 벌목지대라 잡목이 자라 진행이 매우 어렵다.

잡목지대를 지나니 908봉이 나오고

이어서 이정표와 삼각점이 있는

 877봉이 나와 이곳에서 좌측으로 꺽어서 진행한다.

양호한 등로를 따라가다가 철책을 만나 철책좌측으로 진행하다가

861.6봉을 지나

내림길에 철책과 헤어져 좌측으로 급경사길을 내려간다.

시멘트 포장길인

감주재에서 국사봉 방향으로 올라가는데, 벌목지라 잡목이 무성하여 오름길이 무척 힘이든다.

국사봉 직전에서 국사봉을 오르지 않고 백학동 방향으로 내려가

경주최씨묘를 지나

한기마을과 원문의 마을이 갈리는 능선에서 원문이 마을을 경유하여

마을길을 따라 고갯마루에 올랐다가 좌측의 주택으로 진입하여 주택뒤로 돌아 밭을 지나 산으로 오르니 성곽이 비교적 뚜렷하게 남아있는 돌무덤을 따라 가다가 잠시 우측으로 틀었다가 묘지를 지나 좌측으로 틀어서 성벽을 따라가니  

하성 이정표와

안내판이 나온다. 이정표를 따라 백학동으로 나와

백학경노당앞에서

베티고개를 사진에 담고 경로당앞 평상에서 식사를 하고 휴식을 취한 후

도로를 건너

이정표를 따라 거말산으로 향하는데, 농로를 끝까지 따라가 산으로 들어야 한다.

봉우리를 넘어

독림이 고개에서 급경사길을 올라가니

거말산 정상석이 설치되어있고

조망이 좋아 뒤돌아보니 수도지맥 분기봉과 삼도봉이 우뚝솟아 보인다.

앞을보니 수도산과 양각산등 수도지맥과 양각지맥, 금오지맥이 한눈에 들어온다.

거말산에서 되돌아나와 이정표를 따라 우두령으로 급경사길을 내려가니

임도가 나오는데

이정표를 따라 편안한 등로를 따라가니

우두령이 나온다.

다음구간인 수도산 이정표가 보이고

김면선생 전적비와

감천발원지 안내판이 있다. 이곳에서 수도지맥 1구간 종주를 마치고 내일 금오지맥 제2구간 종주를 위해 김천으로 간다.

 

10. 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