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의 지맥들/11. 보현지맥

보현지맥 제2-1구간 꼭두방재 ~ 보현산

홍승우 2014. 7. 21. 17:05

보현지맥 제2-1구간 꼭두방재 ~ 보현산

 

1. 일자 : 2014. 07. 20(일요일)

 

2. 날씨 : 맑음

 

3. 산행인원 : 나홀로

 

4. 이동수단

 가. 갈때 :  포항 → 700번  → 시내버스  → 기계환승센터  → 시내버스  → 죽장  → 죽장택시 꼭두방재

 나. 올때 :  정각 → 영천시내버스(360번) → 영천 → 직행버스 → 포항

 

5. 지도/지역

 가. 지도 : 영진 1:5만 338쪽 및 개념도

 나. 통과지역 : 경북 청송군 현동면, 현서면, 포항시 죽장면 

 

6. 산행구간/거리 : 꼭두방재~ 보현산 / 12km

 꼭두방재 - 5.5 - 863봉 - 0.6 - 베틀봉 - 2.0 - 847봉 - 1.1 - 면봉산 - 2.8 - 보현산(삼군경계봉)

7. 산행시간 : 05시간 19분/ 꼭두방재(08:06) - 863봉(10:32) - 베틀봉(10:49) - 면봉산(12:17) - 보현산 3군 경계봉(13:25)

 

8. 길찾기 주의할 곳 및 안내

  면봉산에서 밤티재로 내려가는 내림길 초입에 길이 희미함 : 포항세에서 세운 정상석이 있는 곳에서 우측으로(오름방향이 아님) 이동하여 길을 찾아 내려가야 함

 

9. 산행기록

   어제에 이어 오늘도 보현지맥 2구간의 일부와 기룡지맥 제1구간을 산행하기 위해 꼭두방재로 가는데, 어제밤 천둥번개를 치면소 소낙바가 요란하게 쏟아지길래 잡풀에 물방울이 묻어있으면 신발이 젖으니 조금은 염려가 되지만 복중날씨라 비옷만 하나만 넣고 간다.

 

 꼭두방재에 도착하여

 길건너 낙석방책 좌측으로 올라가니 잡풀이 없고 등로는 매우 양호하다.

 헬기장을 지나고 571봉을 좌측 능선으로 우회하여

 적송지대를 지나

 급경사를 내려가니 안부가 나온다. 안부를 지나

 가파른 오름길을 오른 봉에서

 한차례 더 가파른 봉우리를 오르니 603봉이 나온다.

 능선길이 양호항 잡생각을 하느라 623봉은 어떻게 지났는지 모르고 지난 소나무 아래를 지나

 능선갈림길에서 우측으로 꺽어 오르니

 786봉이

 나온다.

 757봉을 우측 사면으로 우회하여

 785봉에서 좌측으로 꺽어 진행하다가

 통정대부 함안조공묘를 지나

 삼각점이 있는

 863봉에 도착한다. 베틀봉을 향해 오름길을 오르다가

 바위봉 사이를 지나

 올라가니 베틀봉이 나온다.

 조망이 트여 면봉산과 보현산이 그름속에 솟아있다. 가파른 내림길을 내려오니

 막 개간한 것으로 보이는 밭이 있고 밭을 지나 능선아래 좌측사면의 우회길을 따라 내려오니

 곰내재가 나온다. 울산 산적산악회에서 면봉산 산행을 온 산객들과 섞여서 길면서도 가끔은 가파른 오름길을

 한참을 올라가니 도상 면봉산인 이정표와  

 헬기장이 있는 곳에서 헬기장을 가로질러 올라가는데

 이곳이 철쭉군락지 인지 안내판이 설치되어 있다.

 기상관측시설이 있는 도상의 안봉산에 오르니

 면봉산 아내판이 있고

 정송군에서 설치한 정상석이 있는데

 산적산악회 회원님의 도움을 받아 기념사진 한장 찍었다.

 구름속의 보현산을 사진에담고 남쪽방향으로 내려가

 만나는 포항에서 세운 정상석에서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길을 찾았으나 길이 희미하여

 임도로 나아가 주변을 살핀 후 다시 숲으로 들어와 남서쪽 방향으로 길을잡아 잡목숲을 헤치고 나아가니 이내 등로가 나온다. 급경사 내림길으 내려가

 억새가 자라고 있는 밬티재 안부에서 직진방향의 숲으로 들어가니

 밤티재 성황당이 나온다. 사면경계봉을 향해 급경사 오름길을 올라

 삼군경계봉에서

 좌측 기룡지맥방향으로 방향을 틀어 기룡지맥 제1구간을 이어간다.

 (기룡지맥 종주를 마치고 정각리 버스정류장에서 찍은 사진)

 

10. 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