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현지맥 제8구간 돌고개(912번 지방도) ~ 합수점(낙동강과 위천)
보현지맥 제8구간 돌고개(912번 지방도) ~ 합수점(낙동강과 위천)
1. 일자 : 2014. 03. 08(토요일)
2. 날씨 : 맑음
3. 산행인원 : 나홀로
4. 이동수단
가. 갈때 : 자가용(예천 → 돌고개)
나. 올때 : 우물리 → 상주시내버스→ 상주 → 자가용 → 예천
5. 지도/지역
가. 지도 : 영진 1:5만 308, 307,281, 306 쪽 및 인터넷지도
나. 통과지역 : 경북 의성군 안게면, 안사면, 다인면, 상주시 중동면
6. 산행구간/거리 : 돌고개 ~ 합수점 / 28.2km
돌고개 - 0.8 - 곤지산 - 2.6 - 문암산 갈림봉 - 4 - 169.8봉 - 2.1 - 징걸재(923번 지방도) - 3.5 - 비봉산 - 5 - 28번국도 - 1.7 - 59번국도 - 1.3 - 95.3봉 - 2.5 - 197.5봉 - 2.5 - 우무실마을 2차로 -1.2 - 낙동강과 위천 합수점
7 . 산행시간 : 10시간 51분/ 돌고개(06:18) - 곤지산(07:14) - 문암산 갈림봉(08:06) - 169.8봉(09:50) - 징걸재(10:26) - 비봉산(12:32) - 28번국도(14:04) - 59번국도(14:39) - 95.3봉(15:13) - 197.5봉(16:04) - 우무실마을 2차로(17:09)
8. 길찾기 주의할 곳 및 안내
가. 문암산 갈림봉(비봉산 1봉) : 정상 50m 이정표에서 좌측 한골방향이므로 정상에 올랐다가 되돌아 와서 이정표를 따라서 진행
나. 비봉산(비봉산3봉) : 정상 정자앞 좌측의 표지기를 보고 급경사를 따라 내려가야 함
9. 산행기록
" 비봉산에 오르다. 보현지맥 마무리 산행"
새벽4시반에 일어나 산행준비를 하여 승용차를 타고 돌고개로 이동항여 차량을 돌려보낸다.
안사파출소 앞
보현지맥 안내판 뒤로 오르니
이동통신탑이 나오고 완만한 등로를 올라
조망바위를 지나고 마당바위를 지나
236봉을 경유하여
오현에 내려선다.
오현에는 커다란 성황당과 당나무가 있으며 이정표가 있다.
작은 계단을 오르니
정원수로 사용하면 좋을 소나무가 나오고
곤지산이 나온다.
곤지산 삼각점을 사진에 담고
버섯바위를 지나
곤지봉에 오르니
멋진 소나무가 서 있는데 수령이 350년정도 된 보호수이다.
후면에서 사진을 찍으니 자테가 무척 아름답다.
안계들을 조망해 보고 맥길을 이어가
선의현을 지난다.
비릿재를 지나
암벽을 우측으로 우회하여 오르니
정상직전의 이정표가 나오는데 맥길은 한골방향이다.
돌탑과 비봉산 정상표지판이 있는 정상에 올라
이정표를 따라 한골방향으로 되돌아 와야 하는데 좌측에걸린 표지기를보고 그리로 내려가서 합류하려 하다가 중간에 등로가 보이지 않고 앞쪽에 날등이 보이길래 그리로 가서 날등을 따라 내려가니
이정표가 나온다. 이정표 안부를 건너 진행하다보니 맥길을 벗어난것 같아 다음봉에서 확인 하려한 것이
문암산까지 가게 되었다. 되돌아와
이정표에서 한골방향으로 내려가
만나는 이정표에서 한골방향으로 내려가면
앞에 마을이 보이고 우 측방에 비봉산이 보인다.
농로를 따라 마을을 통과하여
만나는 도로 삼거리에서 우측으로 꺽어
도로를 따라가니
정면에 비봉산이 보인다.
도로를 따르다가 좌측에 보이는 표지기를 따라 올라
논밭을 지나고
버려진 봉고차를 지나
포장된 농로삼거리에 도착한다. 직진방향으로 농로를 따라가서 임도를 따라 한참을 진행하면
삼각점이 나오는데
169.8봉이다.
김수현의 묘를 지나
다시 임도를 만나
임도를 따라 내려가
사붓마을 뒤쪽 삼거리에서 숲으로 들어가
좌측아래 사붓마을을 내려다 보고
묘지를 지나
사붓마을 뒷길을 횡단하여 수렛길을 따라 내려가
923번 지방도 징걸재에 도착한다.
도로건너 김조현 사은비가 있는곳으로 가
사은비 좌측으로 올라가 능선마루에 복귀하여
165봉을 지나 비봉산으로 향한다. 오름길 중간 양지바른 곳에서 점심식사를 하고
교육청 공지판을 지나고 암벽을 우회하여
449봉인 자미2봉(비봉산제2봉)에 올랐다가 내려가니
이정표가 나오고
좌측으로 조망이 트여 다인들이 한눈에 들어온다.
정상직전 이정표가 있는곳에서 휴식을 취하고
정상에 오르니 정상표석과 정자가 나오는데 정자가 특이하다.
이정표 뒷쪽의 산불초소에 근무하는 분이 커피를 끓어주어 한잔 얻어마시고 지나온 비봉산에 대해 얘기하니 그곳이 비봉산 제1봉이고,자미2봉이 비봉산 제2봉이며, 이곳이 제3봉이란다. 북쪽사면 9부능선쯤에 자리잡은 양철지붕의 기도원을 얘기하니 철거되고 터만 남아있단다. 소학교시절 교가에 나오던 비봉산을 이제사 오르게 되니 남다른 감회가 있어 주변을 찬찬히 둘러보는데
북쪽 낙동강쪽은 나무때문에 조망이 시원치 않으나
남쪽 다인쪽은 조망이 트여 매우양호하다. 남쪽 조망이 트이는 곳에 보이는 표지기를 따라 급경사를 내려가
소나무 숲을 지나
힌티재를 넘어 내려가니
임도가 나온다. 임도를 따라 직진하여
만나는 4거리에서 좌전방으로 직진하여 숲을 빠져나가니
농지와 마을이 눈에 들어온다.
도암고개를 지나 농로를 따라 진행하여
28번 국도뒤 축사를 지나
28번 국도에 도착하여 진행방향을 보니
도로 확포장 공사 중이다. 공사장을 넘어
가족묘에서 휴식을 취하면서
지나온 맥길을 짚어보고 산으로 들어가
130봉을 지나
임도를 만나 좌측으로 내려가다가
도암체육공원을 통과하여
수렛길 삼거리 뒤쪽의 산으로 들어가
수로삼거리를 지나 내려서니
59번 국도가 나온다. 도로건너 농로를 따라
폐건물을 지나고
논밭을 지나
다시 농로(마을길)에 들어서 좌측으로 나가
마을길을 횡단하여 농로를 따라 산으로 오른다.
가선대부 평해황공 묘소에서 휴식을 취하면서 아픈다리를 주물러 풀어준 후
95.6봉 삼각점을 사진에 담고 임도를 따라 진행하여
고공수로를 지난다.
수로를 횡단하여
농로 4거리를 건너 직진하여
우측에 보이는 감나무 밭을 지나
숲으로 들어갔다가 나오니
다시 밭이다. 밭을 건너 잡목을 헤치고 올라 묵밭이 된 곳에서 좌측 가장자리를 따라 오르니
삼각점이 나오는데
197.5봉이다. 직진방향으로 봉우리를 내려가니
바위턱이 나오는데 주변을 잘 살펴야 내림길으 보이며 진행방향 좌측에 표시기가 있으니 주의하여 살핀 후 그리로 내려가야한다.
사암지대의 안부를 지나(오늘 통과한 지역의 지질은 사력암과 이암지대이다)
잘 다듬어진 묘지를 통과하여 다소 흐릿해진 등로를 찾아 잡목을 헤치고 오른
164봉에서 좌측으로 꺽어 내려가
가사리 뒷쪽의 안부를 통과한 후 작은 봉우리를 넘어 내려가니
포장임도가 나오며 임도를 따라
내려가니 수암종택과
우물1리 표석이 있는 도로 삼거리이다. 우물리에서 상주로 나가는 17:25분 버스를 타기위해 이곳에서 산행을 마무리 하고 수암종택과 첨모각은 팔공지맥 마무리시 다녀오려고 한다. 버스정류장에서 버스를 기다리다 잠시 후 도착한 버스를 타고 상주 시외버스 터미널로 가서 승용차를 타고 예천집으로 복귀한다.
수암종택
수암종택 안내판(풍산류씨 종택)
멀리 첨모각이 보임(강쪽)
10. 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