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간 및 정맥/금북정맥·금북기맥

금북정맥 제12구간 수량재 ~ 장재

홍승우 2011. 2. 16. 13:32

 

금북정맥 제12구간 수량재(차리고개) ~ 장재

 

1. 일자 : 2011. 02. 19(토요일)

 

2. 날씨 : 맑음

 

3. 산행인원 : 나홀로

 

4. 지도/지역

 가. 지도 : 영진 1:5만 214, 213, 239쪽 및 개념도(개념도가 더 유익하였음)

 나. 통과지역 : 충남 서산시 팔봉면,  태안군 태안읍, 원북면, 소원면 

 다. 참고산행기 : 산보(다음블로그), 안성촌놈(내이버 블로그)

 

5. 산행구간/거리 :  수량재(차리고개) ~ 장재 / 22.1km

차리고개(60m) -1- 물래산(145m) - 1.2 - 32(77)번국도(40m) - 4.2 - 붉은재(40m) - 1- 오석산(169m) - 3.7 - 백화산(275m) - 1.5 - 모래기재(60m) - 3.3 - 퇴비산(165m) - 2 - 유득재(40m) - 1.9 - 도루개도로(30m) - 2.3 - 32번국도(40m)

6 . 산행시간 : 07시간 44분/ 수량재(08:20) - 물래산(08:56) - 32(77)번국도(09:29) - 붉은재(10:29) - 오석산(10:53) - 백화산(12:40) - 모래기재(13:23) - 퇴비산 갈림길(14:16) - 유득재(15:03) - 도루개고개(15:31) - 32번국도 장재(16:04)  

 

7. 길찾기 주의할 곳 및 안내

 가. 전 구간이 길찾기 용이하나 여름철 산행이면 잡목구간과 태풍으로 쓰러진 나무가 방치된 곳을 통과할 시 유의해야 함

 나. 물래산은 벌목지대를 오르면서 2번째 봉우리에서 우측을 보면 나뭇가지에 리본이 있음  

 

 8. 지명/유래/

    가. 굴포운하지 : 고려와 조선조에 운하굴착을 시도한 곳

 

9. 교통

  가. 갈때 : 자가용이용 수량재 이동

  나. 올때 :

  1) 장재 ~태안 : 장재에서 버스타고 태안버스 터미널 이동

  2) 태안 ~ 수량재(차리고개) : 13번홈에서 시내버스 타고 차리고개 로 이동 차량회수 후 태안에서 1박하고 일요일 다음구간 산행

 

 10. 산행기록

     금북정맥을 택하게 된 것은 가능한 올해안으로 정맥을 마무리 하기위해서이다. 금남호남 및 금남은 오선산악회를 따르고 한남금북은 김규철과 약속한대로 3월에, 한남은 감리교육때 강행을 한다면 가능 할 것으로 보이고, 금남은 9~10월에 간다면 마무리가 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새벽 4시반에 일어나 제천IC 에서 38번도로를 타고 평택으로 가서 45번 및 34번 32번 도로를 이용해 서산시를 거쳐 차리고개인 수량재에 도착하였다.

 홍성정비공업사 뒤편에 주차를 하고 무르티고개~수량재 구간의 날머리인 예비군 훈련장을 확인한 후

32번도로 지하통로를 통과하여 우측으로 부체도로를 따라 이동하여

홍성정비공업사 건너편 도로를 따라 물래산을 오른다.

벌목지대를 지나와 팔봉산을 배경으로 사진한장 찍고

잡목을 헤치고 나가니

근래에 건설한 것으로 보이는 원형탱크 시설물의 울타리를 따라

벌목지대를 도로를 따라 우측으로 돌아 오른다. 뒤편에 보이는 고지가 물래산으로 착각하고 올라보니 너무 많이 온 것 같아 뒤돌아 내려와서

좌측을 살피니 리본이 보인다. 봉우리에 오르니 물래산 안내판이 붙어있다(처음부터 알바20여분을 했다)

물래산을 내려서는데 작년에 피해를 준 태풍 곤파스에 쓰러진 나무들이 등로를 가로막고 있다(백화산등 일부구간을 제외하고 쓰러진 나무가 그대로 방치되고 있음)

내림길 중간에있는 바위를 우측으로 우회하여 내려와

진장리 방향으로 좌회전 하여

축사뒤 임도를 따라 마을길로 내려서서

32번도로 지하통로를 통과하여

우측으로 돌아가면서 팔봉산 봉우리를 세어보는데 아무래도 8개가 안된다. 여기는 봉우리 전체가 조망되는 지점이 아닌가 보다.

팔봉중학교를 통과하여 뒤쪽으로 나가니 도로가 보이는데 도로를 따라도 될 것이나 울타리를 따라 우측으로 이동하여

철조망 뒷길을 따라 간다.

묘지군을 지나고

LG텔레콤 이동통신기지를 지나서

바로 나타나는 3거리에서 우회전하여

도로를 따라 이동하여

우로 돌아가는 길옆에 있는 가옥을 지나고

배나무 밭도 지나고

논뚝을 건너서 도로에 들어서니

굴포유래 안내판이 있다. 삼남지방의 세곡미 운송을 위해 건설하려던 운하가 장비와 토목기술의 부족으로 비록 성공하진 못했지만 후손인 우리들의 토목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여 세계무대에서 활약을 하고 있음은 격세지감을 느끼게 한다.

(하단부)

보호수를 지나고

인평3리 다목적 회관을 지나면서

도로우측으로 바라보이는 팔봉산을 보니 봉우리가 8개가 보인다.

소한말 정류장에서 좌측도로를 따라 이동하여 만난 3거리에서 우측으로 도로를따라 오르니 도로 안내표지판이 나온다.

300여 m를 더 진행하니 북창 버스저유장이 나오고

원북방향 도로를 따라 이동하여

붉은재에 도착하여 좌측 산으로 진입한다.

초입에는 어린 소나무지대이지만

좀더 진행하니 여기도 태풍 피해지역이다. 쓰러진 나무를 피해 이리저리 비켜나가

오석산에 오른다.

내림길 잔설지대를 통과하니

등로가 뚜렸한 소나무 지대이다.

원산후와 고일간을 잇는 강실고개에 내려섰다가 도로를 건너

숲속의 인삼밭이 나오는데 인삼밭도 태풍피해를 입었으며 가림막을 보수하지 않았으나, 시비를 한 흔적은 보인다. 인삼밭 옆의 등로를 쓰러진 나무가 가리고 있어 나무 뿌리쪽으로 우회하여 통과한다.

241고지 오름길에 바위지대에서 점심식사를 하고

벌목을 한 241.7고지를 오르다가

뒤돌아서 서산시 팔봉과 가로림만을 조망한다.

이어서 고지에 오르다가 우측으로 난 길을 따라 이어가다가 한무리의 산객을 만나 인사를 나누고

내려서니 오룡동과 냉정골을 있는 도로가 나타난다. 도로를 횡단하여

잘 정비된 오름길을

가파르게 올라서니

군부대에서 설치한 안내판이 나온다. 안내판 좌측 등로를 따라 오르니

백화산이다. 산객에게 부탁하여 사진을 찍고

태안시내와 안면도 및 간월만을 조망하고

쌍괴대 앞의

돌계단을 따라 내려오니

이정표가 나온다. 정맥길을 따라 직진하여

백화수를 떠서

목을 축이고 도로를따라 내려와

태을암으로 들어가 바위에 새겨진 글자와

조형물

마애불을 감상하고

해우소 앞쪽의 길을 따라 내려가다가

낙조대에서 해지는 모습을 상상한 후

길을 찾아 내려서니 모래기재 앞 좁은 도로이다. 도로 우측으로 이동하여 가옥을 지나

603번도로를 따라 조금 오르니

태안여고 후문이 나온다. 후문 우측의 도로를 따르니 중간에 산으로 진입하라는 리본이 보이지만 무시하고

도로를 따라 이동한다.

길가엔 봄꽃이 피어있다. 무슨꽃인지 모르지만 춥다고 노래를 부르던 것이 엊그제 같은데 양지바른 곳엔 봄을 알리는 전령들이 하나씩 생겨나고 있다.

예비군 훈련장 입구에서 울타리를 따라 우측길을 이어가다가

울타리(철조망)가 긑나는 지점에서 리본을 보고

울타리를 따라 산으로 올라 훈련장을 벗어나니

삼각점이 있는

159.7봉이다.

퇴비산 갈림길에서 우측으로 내림길을 재촉하니

레미콘과 아스콘 공장인 서해산업 도로가 나오고 도로를 따라 내려오니 32번 도로가 지나가는 차도고개이다.

길건너 임도

우측 L형측구에 설치해준 계단(이 공사의 감독이나 시공자의 친절에 감사드린다)을 올라

잡목을 헤치고

송림을 지나

구수산 갈림길을 지나

우측으로 내려서는 길에 태풍으로 쓰러진 소나무를 통과하여 내려서니

유득재이다. 맘씨좋은 주인어르신 덕분에 리본들이 주렁주렁 매달려 있다. 당초엔 여기까지 계획하였으나 시간도 넉넉하고 내일 복귀로의 교통정체를 피하기 위해 쉬재까지 더 진행하기로 한다. 간식거리를 사서 먹고 

시목초등학교 간판이 가리키는

도로를 따라 이동한다.

시목구판장도 지나고

마을 표지석도 지나 도로를 따르는데 젊은이가 자전거를 타고 오더니 풍수인가 묻는다. 금북정맥 산행중이라니 계속 말을 붙이는데 불쌍하게도 정신이 나간 사람이다.

도루개 고개를 물으니 여기란다. 허우대는 멀쩡한데 아깝다. 나이를 물으니 스물아홉이다. 내 아들보다 2살위이니 아들또래이다. 이후부터 장재까지 따라와 버스를 타고 떠날때 까지 헛소리를 해댄다. 아무튼 병이 빨리 낫기를 바랄 뿐이다.

우렁각시탑 안내판을 따라들어가

탑을 구경하고 되돌아 나와

32번 국도인 쉰재에 도착하여 우측으로 이동하여

장재 버스 정류장에서 버스를 타고 태안으로 이동한다.

(장재 정류장 버스 시간표)

 

11. 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