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북정맥 제4구간 차령고개 ~ 각흘고개
금북정맥 제4구간 차령고개 ~ 각흘고개
1. 일자 : 2011. 05. 07(일요일)
2. 날씨 : 안개 후 맑음
3. 산행인원 : 나홀로
4. 지도/지역
가. 지도 : 영진 1:5만 245, 244쪽 및 개념도
나. 통과지역 : 충남 천안시 광덕면 ,아산시 송악면, 공주시 정안면, 유구구읍
5. 산행구간/거리 : 차령고개 ~ 각흘고개 / 14.5km
차령고개(190m) - 0.7 - 봉수산(366m) - 3.2 - 개치고개(280m) - 4.2 - 곡두고개(310m) - 3 - 갈재고개(450m) - 3.4 - 각흘고개(220m)
6 . 산행시간 : 07시간 17분/ 차령고개(07:21) - 봉수산(07:47) - 개치고개(10:00) - 곡두고개 (12:32) - 갈재고개(14:03) - 각흘고개(14:56)
7. 길찾기 주의할 곳 및 안내
전반적으로 양호함
8. 지명/유래
9. 교통
가. 갈때 : 공주 시외버스 터미널 건너편 버스 승강장에서 시내버스 터미널발 06:30분 차를 타고(시내버스와 시외버스 터미널 위치가 다름) 정안으로 이동하여 정안 광정에서 택시를 타고 이동
1) 공주에서 갈때는 06:30분 차량 탑승시 정안광정 버스매표소에서 천안방향 주유소로 이동하여 바로 연결되는 710번 버스를 타면 차령고개로 이동할 수있음
공주시외버스터미널 시내버스 승강장에 붙어있는 버스 운행노선표(정안까지1일22회 운행함)
(정안면 광정 버스 매표소 앞 정류소, 천안방향으로 조금더 올라가면 주유소가 있는데 그곳이 천안 710번 버스가 회차하는 지점이다.)
(정안 광정 직행버스 시간표이다. 공주 출발또는 경유차량들이니 교통이 무척 편리한 것이다.)
2) 천안에서 갈때는 천안발 710번 버스를 타면 차령고개로 이동가능함
3) 1박2일코스로 할 경우 유구에서 아산행 버스를 타고 각흘고개에서 옷을 갈아입은 후 다음차를 이용 아산으로 이동 아산에서 전철로 천안으로 이동하여 천안에서 숙박하는 것이 유리함(공주 시외버스 터미널 주변엔 숙박과 식사를 할 수있는 시설이 불편함)
나. 올때 : 날머리에 세워둔 자가용 이용
10. 산행기록
"금북정맥을 마무리하는 날이며, 더운날씨였다."
공주 시외버스 터미널거너 시내버스 승강장에서 18번 버스를 타고 정안으로 이동하여 정안택시(041-881-8595)를 콜하니 10여분 후에 도착한다. 농사일을 하다가 오느라 늦었단다. 이 시간에 택시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거의 없다는 택시 기사와 이런 저런 얘기를 나누며
차령고개에 도착하여 산행준비를 하는데, 710번 버스가 지나간다. 좀더 자세히 준비 하였다면 버스를 이용할 수도 있었었다.
4차로 개통으로 영업을 하지않는 휴게소 우측의 관광안내판 옆 계단을 이용 대나무 숲으로 들어가 한차려 가파른 오름을 올라
337고지에 설치된 군용표시주가 있는 곳에서 좌측으로 꺽어 내려가니
임도가 나온다. 임도를 따르다가 좌측 언덕을 오르니
해맞이 망배단이 나온다.
망배단 뒷쪽의 삼각점 방향으로 내려가니 또다시 임도로 이어지고
곧이어 봉수대 안내판과
봉수대 흔적이 있는 봉수산에 도착한다. 이곳에서 되돌아 나와
묘지 우측 느티나무에 걸린 리본을 보고 내림길을 내려오니
임도가 나온다. 망배단과 봉수산을 오르지 않는다면 이곳까지 임도를 따라와도 된다.
송전탑이 있는 곳에서 좌측 숲으로 들어가 내림길을 내려가니 임도가 다시 보이는데, 좌측아래를 보니 포장도로가 보인다. 그래서 조금더 진행하면 포장도로가 마루금을 횡단하는 곳이 나오려니 생각하고 지나쳤는데, 포장도로가 나오지 않는다. 그렇다면 지나친 임도가 이수원 고개이고, 포장도로는 골프장 내부 도로인데... 이수원고개는 사진을 찍지 못하고 지나치고 말았다. 천안논산 고속도로 터널위를 지나 한참을 진행하니
375고지가 나온다.
좀더 진행하여 송전탑 옆 430고지에서 우측으로 꺽어 진행하여 두번째 420고지는 오를지 않고 우회하여
임도에 도착 임도를 횡단하여 숲속으로 들어간다. 개념도에슨 임도가 마루금 좌측을 따라서 장고개 까지 이어지는 것으로 되어있는데, 임도는 송전탑을 건설하면서 만든 것으로 복구를 하여 나무를 심어서 나무들이 제법 자라 임도 흔적만 남아있다.
능선길을 따르다가 묘지 2기를 지나고 나오는 안부가 장고개이며, 장고개를 횡단하여 능선마루를 따르다가
안부를 지나 금경사길을 오르니
324고지이다. 또다시 급경사 내림길을 내려서니
개치고개가 나온다. 이곳에서 부터 긴 급경사 오름을 5번을 올라야 되는데, 420.9 고지와 480고지, 헬기장이 있는 440고지, 553고지, 630고지 등이다. 그래서 이구간을 빨래판 구간이라고 한단다.
30여분을 힘들게 오르니 삼각점이 있는
420.9고지이다. 이곳을 지나 완만한 능선길이 이어지는데
조금진행하다보면 삼거리가 나온다. 삼거리에서 리본을 따라 우측 능선으로 진행해야 하며, 능선 옆으로 난 길을 따르면 무드리 마을로 내려가는 길이니 주의해야 한다.
그리고 또다시 만나는 삼거리에선 좌측으로 진행을 해야한다. 우측 으로 진행하면 지장리로 내려가는 능선길이다.
안부 4거리에 내려섰다가 또다시 오름길을 오를 채비를 하여 가파른 오름길을 오르니
480고지이다. 또다시 완만한 능선을 따라 가다가 좌측으로 방향이 휘어지면서 작은오르내림을 하며
420고지를 지나고
또다시 급한 오름을 올라 헬기장이있는 440고지에 도착한다. 이곳에서 정맥길은 전방으로 직진을 해야하며, 우측으로 난 길을 따르면 안된다.
작은 오르내림후 한참을 내려간 느낌으로 곡두고개에 도착하는데, 곡두고개는 서낭당 흔적이 보인다. 이곳에서 553고지까지 오르는 길이 가장 힘든 오름이다.
한참을 오르니 553고지가 나오고
완만한 능선길을 어가다가 다시 힘든 오름을 오르니 630고지이다.
완만한 능선길이 이어지다가 646고지를 향한 오름을 올라 봉우리를 지나고
바위지대인 646고지를 지나 더 진행을 하면
우측으로 갈려서 내려가는 갈림길이 나온다. 이곳에서 우측으로 내림길을 내려가니
공주와 아산의 경계인 각재고개가 나온다. 갈재고개를 횡단하여
임도를 따라가다가
첫번째 삼거리에서 좌측으로 진행하면
묘지군이 나오는데 윗쪽을 보니 헬기장 표시가 보인다. 그곳이 광덕산 갈림길인 480고지이다. 여기서 부터는 완만한 내림길이며
등로 주변에 구조표시목과
이정표가 간간히 설치되어 있고 등로도 양호하다.
395고지 헬기장과
송전탑
2개를 지나고
310.2고지 삼각점을 지나
내려서니 각흘고개이다. 이로서 금년 2월에 시작한 금북정맥 종주를 13구간을 진행하여 마무리 하였다.
11. 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