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남금북 제6구간 돌고개 ~ 걸미고개
한남금북정맥 제6구간 돌고개 ~ 걸미고개
1. 일자 : 2011. 03. 20(일요일)
2. 날씨 : 진눈깨비와 함께 비(오후에 갬)
3. 산행인원 : 김규철과 함께
4. 지도/지역
가. 지도 : 개념도/ 영진 1:5만 223, 197, 196쪽
나. 통과지역 : 충북 음성군 읍성읍, 맹동면, 금왕읍, 삼성면, 경기도 이천시 율면, 안성시 일죽면, 죽산면
5. 산행구간/거리 : 돌고개 ~ 걸미고개/ 41km(돌고개~ 보현산약수터 : 3.0km, 21번국도~대야리도로 : 13.5km : 41- 16.5 = 24.5km)
돌고개 - (3.9) - 보현산 - (1.0) - 감우리(승주)고개 - (1.0) - 감우리 - (1.0) - 승주고개 - (2.6) - 346.3봉- (3.7) - 소속리산 - (3.3) - 21번국도 - (4.2) - 583번지방도 - (3.0) - 쌍봉1리고개(583번지방도) - (0.6) - 쌍봉초교 - (2.7) - 583번지방도 - (3.0) - 대야리도로 - (3.2) - 마이산 - (1.3) - 화봉육교 - (0.7) - 황색골산 - (0.7) - 저티고개 - (2.3) - 9번지방도 - (2.8) - 걸미고개
6 . 산행시간 : 순수산행시간 08시간 42분/ 돌고개(07:41) - 보현산 임도(08:04) - 보현산(08:25)- 감우리(승주)고개(08:37) - 346.3봉(09:51) - 소속리산(11:15) - 21번국도(바리고개 ; 12:24) - (14:48) - 대야리도로(14:38) - 마이산(15:43) - 화봉육교(16:09) - 황색골산(16:30) - 저티고개(16:42) - 17번국도 공사장(18:10) - 걸미고개(19:00)
7. 길찾기 주의할 곳 및 안내
가. 전 구간이 길찾기 용이함(황색골산 지나 356봉을 지나면서 골프장쪽의 능선과 헤어져야 하나 계속해서 골프장쪽으로 따르다가 알바하여 저티고개와 9번 군도를 가지 못하고 바로 17번도로 공사현장으로 진입하여 마루금을 이어갔음
8. 지명/유래
가. 지맥
1) 부용지맥 : 보현산에서 분기하여 음성군과 충주시를 통과하며 감우재를 지나 부용산에 이르기 전 490고지에서 가섭지맥을 분기해주고 부용산과 수레의산, 평풍산등을 거쳐 충주시 가금면 갈마사거리 남한강 탄금대교입구에서 맥을 다하며, 북으로는 응천과 한포천, 남으로른 요도천을 갈라줌
2) 가섭지맥 : 490고지에서 분기하여 음성군, 충주시 괴산군을 통과하며 가섭산, 어래산, 풍류산 등을 거쳐 괴산군 불정면 하문리 달천에서 맥을 다하며, 북으로는 요도천, 남으로는 음성천을 갈라줌
9. 교통
가. 갈때 : 21번국도 바리가든과 걸미고개 안성CC진입로변에 1대를 주차해두고 다른1대로 돌고개와 대야리도로로 이동하여 산행후 회수함
나. 올때 : 대야리 도로에서 영월로 복귀
10. 산행기록
" 한남금북정맥을 마칠 요량으로 욕심을 내어 생략과 건너뛰기를 한 산행이었고, 진눈깨비와 마지막 알바가 기억에 남을 산행이었음"
음성에서 하룻밤을 자고 아침식사 후 21번국도 바리가든 주차장에 주차해 두고 다른1대로 돌고개로 이동하여
어제 끝난 곳에서 산으로 이어지는 마루금을 확인하고 차량으로
100여m쯤 이동하니 516번도로 선형개량공사전에 사용하던 정맥길의 돌고개가 나온다. 돌고개 표지석은 길 좌측에 있으나 사진 기록은 하지 않고 차를타고 정맥마루금 좌측으로 난 마을길을 따라
구례고개로 이동한다. 구례고개엔
보현산 약수터 표지석과 임도 안내 간판이 있다. 임도를 따라 차로 이동하면서
휴데시설을 만나고 가파른 임도를 치고오르니(임도를 따라 마루금을 이어가기도 하고 임도에서 약간 벗어난 곳으로 들락거리는 방법도 있으며, 종주자들도 선택해서 이어가는 것으로 판단됨)
약수터 안내간판아래에 약수터가 있고, 지명안내석이 서있다. 지명안내석 앞에 차를 주차해두고
임도 우측으로 난 등로로 진입하여 가파른 오름길을 올라
완만한 능선을 이어가니
부용지맥 분기점인
보현산 산불감시초소가 나온다. 개념도엔 보현산이 가파른 오름길이 끝나는 곳이라고 되어있는데, 보현산에 대한 안내표시물은 모두 산불감시초소에 있다. 이곳에서 기념사진을 찍고
감우리 승주고개로 내림길을 내려가니
무슨 소원을 빌기위해 달아놓은 것인지 몰라도 명태한마리가 나무에 매달려있다. 감우리 고개를 횡단하여
이정표와 삼각점이 있는
375고지를 지나
벌목지대를 지나니
430고지이다. 430고지를 지나면서 북서진하던 마루금은 서서히 남동진으로 바뀌어 326고지까지 이어지고 이어서 꽃동네 건물뒤까지 서진하다가 354고지까지 북동진 한다. 즉 백야리를 남쪽으로 ㄷ자 모형으로 감싸도 도는 것이다.
401고지를 지나고
눈속에서 피어나고 있는 생강나무꽃을 사진에 담은 후
삼각점이 있는 346.3봉과
354봉을 지나니
임도3거리전에 안부가 나온다. 계속되는 눈속에 능선마루보다 임도길이 낳을 것 같아 임도로 내려서서 임도를 따라
임도3거리 까지 이동한다.
임도3거리에서 우측으로 마루금을 오르니 돌탑과 마리아상이 있는 326고지가 나오는데, 마리아상은 보이지 않는다.
이어서 꽃동네 건물이 보이는 곳
묫자리로 생각되는 곳에서 방향을 바꾸어 북진하여 가파른 능선을 치고올라 완만한 마루금을 따라 가다가
삼각점이 있는 소 속리산에 도착한다.
이곳에서 기념사진을 찍고
우측으로 돌아서 마루금을 이어가니 기다리 고개에 도착한다. 능선마루를 따라
345.8고지에서 좌측으로 난 급경사길을 내려오니
음성~충주간 고속도로 공사 현장(휴게소 자리)이 나온다. 절개지 산마루측구를 따라 내려가 도로를 횡단하여 구릉지를 건너
21번국도 바리고개에 도착한다. 고속도로가 완공되면 고속도로 휴게소에서 좌측으로 내려와 지하통로를 타고 이동해야 할 것이다.
바리가든 주차장에 세워둔 차로 돌고개로 이동하여 차를 회수 후
걸미고개로 이동하다가 82번국도상의 월드사우나를 확인하고 걸미고개에 추차 한 후
대야리 고개로 이동 조선판넬 주차장에 차를 세워두고 도로건너 묘목장으로 올라
묘목밭과 독립가옥을 지나 농지와 잡목지대를 따라 북진하여 만나는 능선마루에서 좌측으로 방향을 틀어 마이산을 향한다.
마이산 전위봉인 대야리산을 지나
망이산성 남문터와
내성에 대한 안내판을 지나
마이산에서 기념사진을 찍고
봉수대 안내판 앞으로 마루금을 이어가
헬기장을 지나고
망이산성 안내판과
아랫쪽 정상석을 확인하고 정상석 건너에 있는 리본을 따라 급한 내림길을 내려가 완만한 능선을 따라 내리니
중부고속도로 화동육교가 나온다.
육교를 황단하여
병원간판 건너편에 있는
수레티고개 안내판 사이로 오름길을 오르니
황색골산이 나온다.
돌탑이 있는 저티고개를 지나
356고지에서 휴식을 취한 후 내림길을 내려가면서 정맥길이 골프장을 좌측에 두고 이동하는 것으로 착각하여 경기도와 충북 도경계 마루를 따라 가다보니 알바를 하게 되었다.
이곳이 나타나면 안되고
이곳을 252고지로 착각했으니..... 아무튼, 주거리라는 동네로 진입하여 내려오다가 9번군도의 당목리 고개는 아래쪽에서 눈으로만 확인하고 좀더 진행하여 17번국도 확포장 공사장으로 진입하여
정맥마루금을 절개하고있는 공사장 건너편에 시멘트콘크리트로 포장한 부체도로 올라가 산마루측구를 따라 정맥길에 복귀해야 하지만 비포장된 도로를 좀더 따라가
나무계단이 풀숲에 파묻힌 곳으로 올라 묘지가 있는 곳에서 묘지뒤쪽의 마루금으로 복귀하여 잡목을 헤치고 진행하니
삼각점이 있는 도솔산 비로봉이 나오고
북쪽으로 방향을 바꾸어서 안부를 지나
보현봉(간판이 땅에 떨어져 있음)을 지나
280고지에올라 돌무더기만 확인하고 돌아내려와 진행방향에서 좌측으로 틀어 완만한 능선길을 내려오니 안성CC 진입로 3거리위 L형측구 위가 날머리이다. L형측구에 내려오기전에 울타리를 따라 내려와야 하는데 울타리쪽에 식생을 위해 설치해둔 능형망이 미끄럽고 미끄러지면 도로에 떨어져 사고가 날 수 있으므로 가능하면 능선이 끝나기전 좌측에 가옥이 보이는 곳으로 길을 내서 내려오늘 것이 좋을듯하다.
도로위 L형측구에서 한남금북정맥 마무리 사진을 찍고 정맥종주를 마무리 한다. 이로써 올해 정맥마무리는 낙남에 이은 두번째 마무리가 된다.
11. 지도